현대인들의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운동 부족이 만연하면서 하지정맥류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정맥 혈액이 심장으로 제대로 돌아가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액이 정맥 내에 정체되면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특히 장시간 앉거나 서 있는 직업군에서 흔히 발생하며, 비만, 임신, 꽉 끼는 옷 착용 등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나창현 강남 서울하정외과 원장
나창현 강남 서울하정외과 원장
하지정맥류 초기 증상은 다리의 무거움, 묵직함, 피로감, 또는 잦은 붓기 등으로 나타난다. 진행되면 피부에 혈관이 비치거나 심한 경우 혈관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다리가 자주 쥐가 나거나 통증이 동반되며, 증상이 심화되면 피부 색소 침착, 궤양, 염증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정맥류는 모든 환자에게 혈관 돌출이 보이지 않으므로 증상만으로 자가 진단하기 어렵다.

하지정맥류의 치료는 초기와 중증 상태에 따라 다르다. 초기에는 규칙적인 운동, 다리 올리기, 압박 스타킹 착용 등 생활 습관 개선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중증으로 진행된 경우 열 폐쇄술(레이저, 고주파), 베나실 등의 비열 폐쇄술(접착제), 발거술 같은 시술을 고려해야 한다. 치료는 개별 환자의 상태와 정맥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시술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정맥류를 예방하려면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을 피하고, 주기적으로 스트레칭과 다리 운동을 해야 한다. 체중 관리를 통해 정맥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꽉 끼는 옷이나 높은 굽의 신발을 자주 착용하지 않고, 하체 혈액순환을 돕는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는 진행이 빠르거나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 시술 후에도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상태를 확인하고 생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조기 진단과 예방은 증상의 악화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건강한 하체 혈액순환을 위해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글 : 나창현 강남 서울하정외과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