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 심한 아이, 변의 참지 않는 습관 가지는 게 중요
소아 변비는 4세 이상 아이의 경우 일주일에 2회 이하의 배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변지림, 변을 참는 행동, 배변 시 고통스럽거나 힘든 증상, 직강 수지 검사에서 직장에 커다란 변 덩어리 확인, 변기 막힘 증상 중 2개 이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정의된다.
주요 원인은 변을 참는 생활 습관, 화장실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 식사량이 너무 적거나, 섬유소 섭취, 수분 부족과 같은 섭식 이상 등이 있다. 그 외 변비를 유발하는 전신 질환, 근육 질환이나 신경 질환이 있는 경우, 음식 알레르기나 대사 이상 환자도 변비가 있을 수 있다.
변비가 심한 소아는 변의를 느꼈을 때 참지 않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충분한 수분 섭취와 배‧포도‧키위‧자두 등 과일과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 섭취 등 식이 조절이 도움이 된다. 성장 부전이나 체중감소, 혈변, 심한 복통, 복부 팽만이 변비와 동반될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해 원인을 찾아야 하며, 만성 변비가 갑작스럽게 악화되거나, 장폐색 증상이 있을 때도 진료를 보는 것이 좋다.
이유민 교수는 “변비를 유발하는 내분비 및 대사 질환, 신경이나 근육 질환 여부를 평가하고, 기능성 변비의 경우 식이 조절과 함께 약물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설사 하는 아이, 수분과 영양분 섭취로 탈수 방지해야
설사는 대변으로 과도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으로, 영아는 하루에 몸무게 kg당 10g 이상의 무른 변을 보는 경우 설사로 정의한다. 영아기 기능성 설사는 유아와 학동기 이전 어린 소아에서 하루 4회 이상 무른 변이 1주에 4회 이상 있지만 통증이나 야간 설사, 성장 장애가 없이 학동기 무렵에 저절로 설사가 소실되는 경우를 말한다. 물을 하루에 몸무게 kg당 150ml 이상 섭취하거나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먹는 경우 영아 기능성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수분 섭취를 하루 몸무게 kg당 90ml로 줄이면 설사를 줄일 수 있다.
소아의 설사는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급성 설사는 세균,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위장염, 항생제, 과식에 의한 경우가 많고 만성 설사는 우유 단백 알레르기, 효소 결핍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소아 급성 설사는 수분과 영양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탈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변량과 피부 탄력이 감소하면서 입술, 구강점막이 건조하다면 탈수 증세를 의심해 볼 수 있고 수액으로 전해질을 공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외 고열이 동반되거나 심한 복통, 혈변, 담즙성 구토가 있다면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구토·설사·발열·혈변 등 다른 증상 동반 복통은 빨리 병원 가야
복통은 발생기전별로 내장통, 몸통 통증, 연관통으로 나뉜다. 내장통의 경우 간, 췌장, 담도, 위의 병변 발생 시 상복부가 아프고, 원위 소장, 맹장, 충수, 근위 대장의 병변 발생 시 배꼽 주변에서 통증이 감지된다. 원위 대장, 요로계의 문제 시에는 치골 상부에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몸통 통증은 복막, 장간막 등의 신경 종말의 직접 자극에 의해 통증이 유발되는 국한성 통증이다. 연관통은 심부에서 발생해 척수근과 피부 분절에 투사돼 통증 발생 장기에서 먼 부위에서 느껴진다.
정확한 문진과 신체 검사를 통해 복통의 시작 지점, 위치, 성질, 지속 기간, 강도, 양상, 악화 및 완화 인자를 확인해야 한다. 구토, 설사, 발열, 혈변, 변비, 빈혈, 경구 섭취나 몸무게 감소가 있으면 기질적인 원인을 찾아봐야 한다. 황달이 있거나 복부 진찰에서 복부 팽만, 장음, 우측 상하부 압통이 있거나 간‧비장 비대가 있으면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반면에 혈변 같은 경고 증상이 없고 신체검사에서 특이 소견이 없으면 기능성 위장관 질환일 가능성이 있다.
경고 증상이 있으면 피검사, 대변 검사, 소변 검사를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단순 복부 X선 촬영이나 복부 초음파를 시행해 기질적 질환이 있는지 확인한다. 의심 질환에 따라 상부 위장관 조영술이나 내시경을 고려한다. 기질적 원인이 없는 기능성 복통 환자의 경우 통증을 완화하는 약물 혹은 인지 행동 치료가 도움이 된다.
이유민 교수는 “소아는 설사와 변비의 정의가 성인과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고, 평소 아이의 식습관 및 배변 패턴을 파악해 놓는 것이 좋다. 가공식품이나 인공감미료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고 다양한 양질의 영양소가 포함된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아이마다 식습관과 생활 환경이 모두 다르므로, 장내 세균도 다르다. 최근에는 장-뇌 축 가설이 밝혀져 기능성 장 질환과 장내 미생물과의 연관성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성 장 질환 원인으로 식습관, 스트레스, 장내 세균 이상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아이의 식습관이 건강한지 확인하고 학교, 가정 스트레스를 줄이고 수면 부족, 불규칙한 생활 리듬, 과도한 경쟁적 환경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