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과 수면은 서로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다. 수면 중 코골이와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심혈관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수면무호흡증이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수면무호흡증에 의해 호흡이 단절되면 체내 산소 농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량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혈압과 심박수가 급등한다. 이로써 심장 및 혈관에 지속적인 부담을 줘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종우 숨수면클리닉 원장
이종우 숨수면클리닉 원장
아울러 수면 중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저산소증은 혈관 내피세포를 손상시키고 동맥경화를 가속화시키며 허혈성 심질환의 주요 유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고혈압 환자 중 상당수는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이 두 질환은 비만, 음주, 고령과 같은 공통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만약 치료되지 않을 경우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기존에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라면 수면무호흡증이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환자가 수면무호흡증을 겪는다면 산소 공급 부족 현상이 두드러져 치명적일 수 있다. 무호흡으로 인해 심장의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지만 산소 공급이 부족해 심장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심근경색, 협심증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

이처럼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악화 방지를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다. 무엇보다 초기 치료 과정에서 체계적인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수면무호흡증을 겪고 있다면 수면클리닉에 내원해 비강 초음파, 수면다원검사, 3D CT 등 정밀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기도 구조와 호흡장애의 원인을 분석하고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나아가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인 양압기 사용, 구강 내장치, 혹은 수술적 치료인 기도 확장 수술 등을 시행하여 단계적으로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아울러 수면무호흡증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데 기도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재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의료진과의 협진 및 철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글 : 이종우 숨수면클리닉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