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보청기 종류는 브랜드, 기능,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책정된다. 귓속형 보청기(CIC, ITC, ITE), 귀걸이형 보청기(BTE, RIC), 초소형 보청기 등 여러 가지 옵션이 있으며, 최근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디지털 보청기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보청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보청기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국가에서 지원하는 노인 보청기 지원금을 활용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청각 전문가(Hearing Aid Specialist)와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보청기의 종류는 크게 귓속형, 귀걸이형, 골전도 보청기로 나뉜다.
먼저 귓속형 보청기(ITC, CIC, ITE)는 외관상 눈에 띄지 않는 초소형 보청기로, 미관을 중시하는 사용자에게 추천된다. 귓속형 보청기 가격은 기능과 브랜드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초고막형 보청기 같은 맞춤형 제품도 있다.
귀걸이형 보청기(BTE, RIC)는 강한 출력이 가능해 난청 정도가 심한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오픈형 보청기도 포함되며, 최근에는 충전식 보청기와 블루투스 기능이 결합된 제품도 많다.
골전도 보청기(Bone Conduction Hearing Aids)는 일반적인 보청기와 달리, 소리를 고막이 아닌 두개골을 통해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보청기로 효과를 보기 어려운 난청 환자에게 추천된다. 골전도 이어폰 보청기 및 골전도 증폭기도 있으며, 사용 목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크로스 보청기(CROS, BiCROS)는 한쪽 귀의 청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편측성 난청 환자를 위한 보청기다. 건강한 귀로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설계돼 있다.

보청기는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배터리 보청기와 충전식 보청기가 있으며, 보청기 배터리는 평균적으로 5~10일마다 교체해야 한다. 충전식 보청기의 경우, 별도의 배터리 교체 없이 충전만으로 사용이 가능해 편리하다. 귓속형 충전식 보청기, 귀걸이형 충전식 보청기 등 다양한 옵션이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윤 원장은 "보청기 구매 시 중요한 요소는 청력 검사 및 정확한 피팅, 보청기 종류 및 기능 선택, 보청기 지원금 여부, 사후 관리 서비스 등이다. 또한, 보청기 대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구입 전에 충분한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키워드
#노인보청기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