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5년 틱 증상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1만6353명이었는데 이 중 10대가 42.5%로 가장 많았으며 10세 미만이 37.9%로 뒤를 이었다. 또한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통계자료에는, 2012년 ADHD 전체 진료인원 6만3661명 중 96.4%인 61,371명이 유아 및 청소년층으로 나타났다. 특히, ADHD는 이르게는 유아기 때부터 증세를 보이지만 이를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해 치료의 적정한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뚜렛증후군 증상은 불수의적 움직임과 소리를 반복적으로 보이는 신경 질환으로 눈깜박임, 눈동자굴리기, 얼굴·코의 실룩거림, 어깨 들썩임, 고개를 갑자기 젖힘, 배 근육에 갑자기 힘 주기, 다리차기 등의 운동틱과 더불어 기침 소리, 코를 킁킁거리는 소리, 동물의 울음소리, 상스런 말하기(욕, 외설증) 등의 음성틱이 1년 이상 나타날 때를 말하며 운동틱장애, 음성틱장애 등상은 동시에 나타나기도 하고 따로따로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은 중추신경계 발달 과정 중 유전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가 상호 작용해 뇌 피질의 신경 회로에 변화를 일으켜 뇌기능상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외에도 유전적인 요인과 심한 스트레스 등 심리적·환경적 요인도 틱장애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있다. 틱장애를 앓는 이들 상당수가 ADHD, 강박증, 불안장애, 대인기피증 등을 동반하는 만큼 틱장애 치료와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를 병행해해야 한다. 틱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자칫 성장 후에도 성인틱장애, 만성틱장애, 뚜렛증후군으로 이어지거나 ADHD가 동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ADHD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행동증상이다. 특히 초등 시절수업시간에 산만하거나, 자제를 하지 못하고 교실을 돌아다니거나, 본인 구미에 맞는 행동만을 고집하고, 충동적이고 돌발적인 행동을 하거나, 감정이 폭발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아동 ADHD증상이다. 성인 ADHD는 스트레스 내성이 떨어지고, 충동적인 행동이 지속되기도 하며, 감정조절의 어려움으로,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이 어렵고 자존감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특히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가장 예민한 나이인 만큼 소아틱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 야단을 치면 칠수록, 심리적으로 위축은 물론 불안과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틱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 틱장애가 만성틱장애나 뚜렛증후군으로 발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치료와 더불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든든한 사회적 지지세력 형성이 필요하다. 우선, 틱장애는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참으라고 참아지는 증상이 아니고 운동장애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나서 틱장애를 가진 자녀와 아동에게 원인과 증상에 맞는 치료법 선택뿐 아니라, 올바른 생활지도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아이에게 다가가는 것이 좋을까?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면 정말 큰 오산이다. 아이들이 오히려 어른들부터 더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많다. 항상 대화로 아이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사소한 일도 들어주는 자세가 필요하다.
2. 야외에서 놀이를 자주하자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연광을 충분히 쬐어준 후에 틱장애 증상과 ADHD 증상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보고가 있다. 그만큼 적당한 야외활동은 틱장애 자체에 대한 생각을 멀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긴장을 풀어주고 아이의 숙면을 편히 취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행동인 만큼 아이들과 함께 자주 놀아주는 것이 좋다.
3. 틱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더라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말자
이런 경우엔 아이들이 더 불안해한다. 어른들도 불안하겠지만 아이 앞에서는 직접 표현하지 않아야 하겠다.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부모님의 불안을 알아차리고 눈치를 보게 된다. 틱이 더 심해지거나 마음의 상처를 받기에 아무렇지 않게 행동해야 한다. 무엇보다 아이와 마음을 열고 대화를 자주 하는 것이 좋다. 아이의 생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늘 긴장에 사로잡혀 있는 몸을 풀어주는 다양한 상황과 환경이 요구된다.
또한, TV나 컴퓨터, 스마트폰 등 과도한 시각적 자극은 뇌신경을 쉽게 흥분시켜 틱장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제가 필요하다. 아이들의 성장과정은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영향이 상당하기 때문에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줘야 한다.
틱장애를 비롯한 ADHD 아동의 치료는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ADHD 증상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고쳐야 할 질환이며, 틱증상은 그만할 수 있는데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멈출수 없는 강렬한 충동에 이끌려 본인의지와 무관하게 하는 상황임을 부모가 이해해야 한다.틱 치료에 앞서 아이를 격려하고 이해하고 공감하는 등, 든든한 사회적 지지세력이 돼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의 출발점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글 : 김대억 해아림한의원 원장(한방신경정신과 박사))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