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대장증후군은 한 번 발생하면 일상을 살아가기가 괴롭다. 하지만 복통 설사 등을 앓고 있으면서 과민성대장증후군이라는 생각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대체로 새벽이나 아침 시간대에 설사가 반복된다면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의심해 봐야 한다. 또한 복부 여러 곳에서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끼거나 차가운 음식에 과민 반응,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악화를 생각한다면 이 증상을 의심할 수 있다.

주로 복통 설사, 변비, 복부팽만 등이 증상이다 보니 이러한 증상을 보인다면 바로 원인을 찾아보는 게 좋다. 원인 찾기가 쉽지 않으나 치료를 위해서는 파악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이 심하다면 지사제나 변비약 등으로 일시적인 증상 완화를 노려볼 수 있다. 하지만 반복해서 재발하는 증상을 피할 수 있도록 해주지는 못한다. 개선을 기대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증상에 영향을 주는 상태, 원인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김영근 위맑음한의원 원장
김영근 위맑음한의원 원장
이러한 증상 파악은 철저한 검사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 파악된 정보가 치료에 모두 반영돼야 하는 만큼 단순히 증상에만 집중해서는 안된다. 장기능 자체를 복원하고 강하게 만드는 데 초점을 둘 수밖에 없다.

설사가 반복되고 증후군까지 이르게 됐다는 건 결국 장 기능이 저하돼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장기능을 복원하고 증상을 없애주는 게 치료의 포인트다.

한방에서는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는 장은 물론 간장, 심장, 콩팥까지 관리한다. 장을 정상적으로 유지해 주는 게 중점사항이다. 더불어 환자의 체질과 상태를 고려해 치료해야 한다.

치료에 있어 환자의 상태와 체질을 파악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상태가 설사 쪽에 치중돼 있는지, 변비 쪽에 치중돼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증상의 유형은 물론 체질, 주변 장기 상태까지 고려해서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원인을 점검해 알맞은 치료 방법을 사용해야 더는 건강에 대한 우려를 접을 수 있다.

한방 치료 못지않게 중요한 건 생활 관리다. 특히 식사를 조절해야 장을 튼튼하게 할 수 있다. 섬유소를 되도록 많이 섭취해야 하며 천천히 먹고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먹어야 한다.

설사 증상이 있으면 커피나 차를 되도록 마시지 않아야 한다. 우유와 같은 식품도 유당분해효소가 결핍됐다면 먹지 않는 게 좋다. 이처럼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치료부터 관리까지 모두 이뤄져야 한다.

(글 : 김영근 위맑음한의원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