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질환은 무릎 뼈의 관절면을 감싸고 있는 연골이 서서히 마모되면서 연골 밑의 뼈가 드러나고, 뼈와 뼈가 부딪혀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하며 평균 수명 연장에 따라 꾸준히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관절 연골은 뼈와 뼈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담당한다. 여러 요인에 의해 연골이 손상되며 마모가 되는데 유전, 비만, 관절 외상, 염증, 생활습관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무릎 사용 정도나 생활 습관 등에 따라서 관절 퇴화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이에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하고자 한다면 평소 무릎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만인 경우 체중 조절을 통해 하중을 최소화해야 하며, 좌식 생활을 개선해야 한다. 운동을 통해 무릎 주변의 근육을 길러주는 것도 도움된다. 다만 무리를 할 경우 오히려 무릎에 자극이 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강도의 유산소 운동으로 걷기, 수영 등을 할 것을 권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연골 손상 정도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해 치료를 진행한다. 증상 초기에는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중기에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치료와 병행하며 운동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 비수술 치료가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체외충격파의 경우 고강도 음파를 이용해 체외에서 손상 부위의 조직을 자극한다. 이를 통해 혈류를 증가시키고 신생 혈관 생성을 유도하면서 연골, 힘줄 재생을 촉진시킨다. 절개와 마취가 필요하지 않고 바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만약 연골 퇴행 정도가 심하다면 보행이 어렵고 극심한 통증이 동반되며, 무릎 모양도 O자 다리로 변형이 될 수 있어 수술이 불가피할 수 있다. 이에 가급적 증상 초기에 내원을 하여 주사치료나 체외충격파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을 무리하게 사용하고, 나이가 들면 자연스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어떻게 관리하고 예방하는 지에 따라 증상 정도에 차이가 난다. 가벼운 걷기나 수영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하고 체중 관리를 하며, 증상 초기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 : 노수한 서울척척마취통증의학과 대표원장)
키워드
#무릎퇴행성관절염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