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2018년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좌심실보조장치(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수술에 성공한 A(여․45)씨가 1296일간 LVAD를 착용한 뒤 2022년 5월 심장이식 수술에 성공했으며, 이후 현재까지 3년간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A씨는 2002년부터 심부전을 앓았고, 2010년 '원인 불명의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진단받았다. 확장성 심근병증은 심장이 비대해져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최종 치료법은 심장이식이다. A씨는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전신 기능이 저하되며 병원 입원과 퇴원을 반복했다. 그녀는 심장이식 대기자로 등록했지만, 대기 순위가 낮아 기약 없는 기다림을 이어갔고, 상태 악화로 LVAD 수술을 받게 됐다. 2018년 10월,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에서 LVAD 수술을 받고 3년 6개월 간 LVAD를 착용하며 치료를 이어갔다. 2022년 5월 11일, A씨는 성공적으로 심장이식을 받았고 현재까지 건강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A씨는 "23살부터 심부전을 앓다가 20년 만에 건강한 심장을 선물받았다"며 "심장이식을 받은 후 숨쉬는 것도 편하고 우울감도 사라져 행복하다"고 말했다.

LVAD 수술을 시행 중인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의료진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제공)
LVAD 수술을 시행 중인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의료진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제공)
심부전은 심장 기능이 저하돼 다른 장기로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중증 심부전 환자는 심장이식이 필요하지만, 기증자의 부족으로 대기 기간이 길어지는 실정이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심장이식 대기자는 1110명에 달하지만, 이식 대기 중 사망한 대기자는 634명에 이른다. 이처럼 심장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LVAD 수술을 통한 ‘가교 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LVAD는 심장이식 전까지 심장 기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LVAD 수술 후 심장이식 결과는 좋은 예후를 보인다. 최근 SCIE급 국제 저널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LVAD 수술 후 심장이식을 받은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의 7년 후 생존율과 합병증 발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LVAD가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숙진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LVAD는 심장 기능과 함께 다른 장기의 기능을 회복시켜 환자가 심장이식까지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든다"며 "LVAD 수술이 점차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LVAD 착용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환자와 보호자의 밀착 돌봄이 요구된다. 이 교수는 "심부전이 악화되면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므로,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LVAD 치료는 3세대 LVAD가 도입됨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3세대 LVAD는 자기부상 원심 펌프를 사용해 혈전 발생 위험을 줄였으며, 기존 LVAD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졌다. 현재 모든 LVAD 수술에는 3세대 LVAD가 사용되고 있어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중증 심부전 환자는 심장과 다른 장기의 기능이 동시에 저하될 수 있어 심장이식을 받더라도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LVAD 수술은 심장 기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다른 장기의 기능도 회복시켜 심장이식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