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테바는 편두통 예방 치료제 ‘아조비(성분명: 프레마네주맙)’의 국내 출시 3주년을 기념해 의료진 대상 학술행사 ‘두통 아카데미’를 지난 3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서울 보코서울 강남에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현장에는 국내 신경과 전문의 등 약 30여 명이 참석했고, 온라인으로는 약 1300명이 참여했다.

‘아조비’는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 리간드에 결합해 수용체와의 결합을 차단하는 단일클론 항체 치료제로, 국내 편두통 예방 치료제 가운데 유일하게 분기별 투여가 가능한 약물이다. 자가 투여가 가능하며, 월 1회 225mg 또는 3개월 간격 675mg 투여가 가능하다. 아조비는 2021년 7월 국내 허가 이후 지속적으로 사용처를 확대해왔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인 IQVI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조비는 연간 약 7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대비 59% 성장했으며, 국내 항-CGRP 단일클론항체 제제 시장의 63%, CGRP 타겟 편두통 치료제 시장의 56% 점유율을 보였다.

이번 두통 아카데미에서는 주민경 신촌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문희수 강북삼성병원 교수와 이미지 서울대병원 교수가 연자로 나서 강연을 진행했다.

한독테바는 지난 3일 ‘두통 아카데미’를 열고, 자사의 편두통 예방 치료제 ‘아조비’의 국내 출시 3주년을 기념해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편두통 예방 치료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편두통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한독테바 제공)
한독테바는 지난 3일 ‘두통 아카데미’를 열고, 자사의 편두통 예방 치료제 ‘아조비’의 국내 출시 3주년을 기념해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편두통 예방 치료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편두통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한독테바 제공)
문희수 교수는 “증례로 알아보는 편두통 예방치료”를 주제로 아조비를 활용한 치료 전환 및 병용 사례를 공유했으며, 다른 CGRP 계열 치료제에서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에서 아조비로의 전환이 긍정적 결과로 이어졌다는 실증적 근거도 소개했다. 이어 치료 가이드라인의 개정에 따라 치료 중단 기준이 유연해지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편두통 예방 치료 전략이 재정립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교수는 아조비 관련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최신 임상 근거를 공유했다. 유럽두통학회(EHF), 미국두통학회(AHS), 프랑스두통학회(FHS) 등 주요 기관들이 항-CGRP 계열 치료제를 편두통 예방의 1차 치료요법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특히 국제두통학회는 ‘월간 편두통일수 4일 미만’을 ‘최적의 조절 상태(Optimal Control)’로 정의함으로써 예방 치료의 조기 개입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미지 교수는 중국 3상 임상, 주요 우울장애 동반 환자 대상 UNITE 임상 결과, 유럽 EUREkA 및 독일 HER-MES 등 실제 임상 근거(Real-World Evidence, RWE) 연구를 소개하며, 초기 단계에서의 항-CGRP 치료 개입이 치료 반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주민경 교수는 “이번 두통 아카데미는 국내 의료진들과 함께 최신 지견을 나누고, 편두통 예방 치료의 임상적 가치를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향후에도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아조비를 비롯한 다양한 치료 옵션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