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관절염으로 무릎 통증과 운동 제한을 겪는 중장년층에게 정밀한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세사랑병원은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한 3D 시뮬레이션 기반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을 통해 수술의 정확도는 물론 환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 수술법은 환자의 MRI 데이터를 기반으로 무릎 관절 구조를 3차원으로 정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맞춤형 수술 가이드(3D 프린트 도구)를 제작해 오차를 최소화한다. 그 결과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출혈·감염 위험은 줄어들며, 회복 속도는 빨라져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게 특히 유리하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장은 “맞춤형 수술은 기존의 획일화된 방식과 달리, 환자의 무릎 모양과 축을 반영한 정밀 수술이 가능해 회복이 빠르고 만족도도 높다”고 설명했다.

3D프린터로 재현한 환자의 무릎관절과 인공관절 수술도구 (연세사랑병원 제공)
3D프린터로 재현한 환자의 무릎관절과 인공관절 수술도구 (연세사랑병원 제공)
또한, 한국인 체형에 최적화된 PNK 인공관절도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한국인 1만2000여 명의 무릎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된 이 제품은 고굴곡 설계로 수술 후 양반다리 자세가 가능하며, 2023년 식약처 허가와 미국 FDA 승인을 통해 안전성도 입증됐다.

고 병원장은 “단순히 관절을 교체하는 시대는 지났다”며 “환자 맞춤형 치료를 통해 더 나은 결과와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퇴행성관절염으로 보행이 어렵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라면, 참기보다는 정밀 진단과 상담을 통해 맞춤형 수술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