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조량 변화‧호르몬 불균형 등 생체리듬 영향
봄철 우울감, 자살률에도 영향... ‘스프링 피크’ 주의
◇햇살 좋은 날인데 우울한 기분? 봄철 우울증 의심
우울증은 일조량이 감소하는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햇볕이 늘고 기온이 상승하는 봄철에도 계절성 우울장애로 ‘봄철 우울증’이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일조량의 변화, 호르몬의 변화, 신경전달물질 분균형 등이 있다.

주요 증상은 기분 변화, 무기력감, 수면 장애, 집중력 저하 등으로, 봄철 알레르기, 날씨 변화등 과 겹쳐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 평소보다 쉽게 지치거나 이유 없이 불안하고 슬픈 감정이 밀려오는 경우 흔히 말하는 ‘봄을 탄다’고도 느낄 수 있다.
이아라 교수는 “계절성 우울장애는 특정 시기에 우울감이 몰려왔다가 자연 호전되기도 하지만, 증상이 반복되거나 오래 지속된다면 만성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세로토닌 분비를 활성화하는 햇볕을 자주 쬐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생활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봄철 자살률 20%↑... 따뜻한 관심이 필요한 계절
종일 우울감이 지속되면서 학업, 직장생활 등 일상 유지가 어렵고 지나친 죄책감, 자살사고 등이 동반된다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살 통계연보에 따르면 봄은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계절로, 2021년부터 3년간 월별 자살사망자 수가 봄(3~5월)이 겨울(12~2월)보다 20%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으로 ‘스프링 피크(Spring Peak)’라 불린다.

효과적인 우울증 개선을 위해서는 약물 치료, 심리 치료, 인지행동 치료 등에 적극 참여하고 의료진의 치료 계획을 신뢰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급성기에는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 초기에 증상이 호전됐다고 자의적으로 약물을 중단할 경우 재발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교수는 “우울증은 재발할수록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어 무엇보다 의료진과의 상담을 신뢰하고, 치료 계획을 성실히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며 “무엇보다 우울증이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고 치료 후에는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질환이라고 믿는 것이 치료의 첫 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우울증 극복에는 본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표현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되며, 일기 쓰기나 신뢰할 수 있는 사람과의 진솔한 대화도 도움이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문제를 해결하려 들기보다는, 판단 없이 이야기를 들어주고 진심으로 공감하는 태도이다. 따뜻한 관심과 지지는 우울감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우울증 선별도구 (출처 : 보건복지부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
- 총점 27점(문항당 0~3점 / 일주일 이상 2점, 거의매일 3점)으로 구성
- 5~9점 가벼운 우울증 / 10점~19점 중간정도 우울증 / 20점~27점 심한 우울증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