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월경장애를 겪는 여성일수록 우울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대한의학회 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2년 한국 여성 생애주기별 성·생식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해, 13세부터 55세 여성 3088명을 대상으로 월경장애와 우울 증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91%가 월경장애를 경험했으며, 중증 월경장애 경험자 비율은 57%에 달했다.

중증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 등의 증상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감을 느낄 확률이 각각 1.6배, 2.0배, 1.4배 더 높았다.

월경장애가 심할수록 우울 증상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청소년기 여성에게서 그 연관성이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클립아트코리아)
월경장애가 심할수록 우울 증상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청소년기 여성에게서 그 연관성이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클립아트코리아)
또한 중증 월경장애 증상이 많을수록 우울감 위험도 비례해 증가했으며, 특히 청소년기 여성에서 이러한 연관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청소년기 여성의 경우, 중증 월경장애 증상이 1개일 때 우울감 위험이 1.8배, 3개 이상일 경우 2.8배로 높아졌으며, 이는 성인 여성(최대 1.9배)보다 높은 수치다.

박현영 원장은 “월경 관련 증상을 단순한 생리적 현상이 아닌,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건강 문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여성 건강 이슈를 파악하기 위한 전국 단위 조사와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