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ADM은 현대바이오와 공동으로 진행한 삼중음성유방암(TNBC) 동물 실험에서,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Penetrium)과 면역관문억제제(Anti-PD-1) 병용 시 전이 억제율이 면역항암제 단독군의 41.2%를 두 배 이상 초과한 87.8%로 나타났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번 전임상 실험에서는 특수 장비(IVIS 이미지 분석 장비)를 통해 삼중음성유방암 세포를 쥐에 이식한 후 암의 전이 정도를 정밀하게 평가했다. 페니트리움은 암조직 주변의 세포외기질(ECM) 경화를 차단하고, 전이 전 니치 형성을 방지해 항암제와 면역세포의 종양 침투를 증가시켰다.

페니트리움은 기존 항암제와 면역세포가 종양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막혀 있던 길'을 열어주는 기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페니트리움은 '가짜내성'을 해결하는 치료제로, 기존 항암제의 효능 저하를 초래하는 약물 도달 실패를 실증적으로 해결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페니트리움이 전이암을 손쓸 수 없다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실험적으로 극복한 사례로, 전 세계 암 사망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전이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현대ADM바이오 로고. (현대ADM바이오 제공)
현대ADM바이오 로고. (현대ADM바이오 제공)
페니트리움은 이미 코로나19 임상을 통해 인체 안전성이 입증됐으며, 향후 삼중음성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췌장암 등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신속히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페니트리움의 탁월한 연구 성과는 오는 4월 25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진근우 현대바이오 대표는 "페니트리움은 가짜내성을 해결하는 최초의 치료제로, 전이 억제를 중심으로 암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