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 협착증이 생기는 원인은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눠진다. 겉으로는 정상적인 사람 중에도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은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평소에 별 증상 없이 지내다가 보통 사람은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않을 작은 디스크만 튀어나와도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디스크를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은데, 척추관 협착증은 중년 이후에 나타나는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인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누르는 병이다.
허리에서 다리로 내려가는 요추신경이 눌려 다리가 저리고 보행에 지장이 있다는 점에서 허리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이 비슷하다. 그러나 허리디스크는 말랑말랑한 젤리와 같은 디스크 물질이 신경을 누르는 것이고,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뼈나 관절 같은 딱딱한 조직이 신경을 누른다.
증상이 나타나는 양상도 다르다. 허리디스크는 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척추관 협착증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허리디스크와는 다르게 앉아있을 때는 괜찮으나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저리고 아픈 보행 장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디스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를 구부릴 때 통증이 줄어든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노인들 중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고 다니는 이들의 경우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의 가장 대표적 증상으로는 첫째,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는 별다른 통증이 없지만 뒤로 젖히면 통증이 심해진다. 둘째, 누워있다가 일어나기는 힘들지만 일단 움직이면 허리가 조금씩 부드러워진다. 셋째, 오래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는데 잠시 주저 앉았다 걸으면 편해진다. 넷째, 걸을 때 허리보다 골반 부위와 다리의 통증이 더 심하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보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치료방법은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눠진다. 보존적 치료는 안정과 약물 치료, 보조기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말한다. 소염제나 근육이완제 등을 투여하는 약물 치료나 열치료, 마사지 등의 물리치료법 또는 보조기를 착용하기도 한다.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줌으로써 좁아진 척추관 내에서 오랫동안 압박된 신경을 풀어주는 것이다. 이를 신경 감압술이라고 한다. 신경 감압술 만으로 충분한 환자도 많지만 신경이 넓은 범위에 걸쳐서 심하게 압박되는 환자는 신경 감압술을 할 때 뼈나 관절을 많이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척추가 불안정해진다. 그런 경우 불안정한 척추를 안정되게 만들어주기 위해서 척추 유합술을 시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최소한의 절개 부위로 뼈와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최소침습수술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척추관협착증을 진단받은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수술을 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척추관이 조금씩 좁아지게 된다. 척추관 협착은 어느 순간 갑자기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처음 진단을 받게되면 병명도 생소하고 어려워 심각한 병은 아닌지 걱정을 먼저 하게 된다. 하지만 허리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척추관 협착증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면 수술까지 필요하지 않다.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허리 근력 강화 운동이나 스트레칭, 수영 등이 척추 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한 담배는 요통에 좋지 못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으며, 장기간 한 자세로 있는 것은 좋지 못하다.
척추관 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인 만큼 평상시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허리를 너무 많이 움직이는 등의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면 그만큼 부담이 가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므로 이를 피하는 것이 좋다. 올바른 척추자세도 퇴행성 변화를 늦출 수 있고, 체중조절 역시 척추의 퇴화를 늦추는데 도움을 준다.
김종열 좋은삼선병원 척추센터·신경외과 센터장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