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은 주로 칼로 찌르는 듯한 측복부 통증으로 나타나며, 결석을 배출하기 위한 요관의 격렬한 연동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요로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 비뇨기 계통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결석을 포함한다. 그렇다면, 요로결석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발생 원인은 크게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내적 요인으로는 가족력, 연령, 성별 등이 있다. 부모가 요로결석을 앓았던 경우, 자녀에게 유전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30대에서 50대 사이에서 요로결석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남성은 여성에 비해 요로결석 발생 가능성이 약 2~3배 높다. 외적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계절적인 요인도 포함된다. 여름철에는 땀을 많이 배출하게 되어 체내 수분 손실이 증가하고, 소변량이 감소해 결석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칼슘, 수산 등 결석을 구성하는 성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것도 요로결석 발생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외에도, 요로 감염이나 요로 폐쇄를 경험한 경우, 요로결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부 환자들은 요로결석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급격한 삶의 질 저하를 겪는다. 특히, 비뇨기라는 병변의 특성상 외과적 수술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비뇨기과 치료를 기피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체외충격파쇄석술은 효과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무엇보다, 피부 및 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결석을 분쇄하는 치료법으로서, 고령층 및 만성 질환자의 치료 부담을 경감시킨다. 수술이나 입원 절차가 필요 없기 때문에, 일정이 바쁜 직장인에게도 효율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치료 후 재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환자 개개인의 올바른 생활 습관 실천이 중요하다. 결석의 원활한 배출을 돕기 위해 하루에 약 3리터의 물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치료받은 결석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칼슘 및 염분의 과도한 섭취는 피해야 한다.
요로결석은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무증상 결석이 발견되므로, 비뇨기과에서 정기적인 신체 검사는 필수다.
(글 : 국하림 분당 서울N비뇨기과의원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