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세 이후 난자 수, 염색체 이상 위험 증가
◇난자 냉동, 적기는 35세 이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의료기관에서 보존 중인 냉동 난자수는 2020년에서 2023년 3년 만에 약 2.5배 증가했다.

35세 이후에는 난자 수는 물론 염색체 이상 위험도 증가해 임신 성공률이 낮아진다. 하지만 설 과장은 “35세 이후라도 개인 난소 기능을 평가해 괜찮다면 충분히 시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난자 냉동 시 몇 개를 얼릴까. 문의하는 여성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대목이다. 난소 기능에 따라 개인 차이는 있지만 30대 중반 여성의 경우 임신 성공을 위해 약 25~30개의 난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보통 한 번의 채취로 얻을 수 있는 난자 수는 10~15개 정도여서 대개 2회 정도의 시술이 필요하다.
난자는 영하 196도의 액체질소에 저장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보관 기한에 제한이 없다. 하지만 40대 중반 이후까지 사용을 미루는 것은 자궁 기능 저하, 부인과 질환 발생 위험 등을 고려해 권장하지 않는다.

냉동 난자에 대한 우려 중 하나는 '품질 저하'다. 그러나 최신 기술 발전은 이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했다.
지금은 유리화 동결법을 이용해 난자를 초저온으로 빠르게 얼리면서 난자 내 얼음 결정이 생기지 않도록 막는다. 덕분에 냉동 난자의 해동 생존율은 90%에 달하며, 냉동 난자와 신선 난자 간 임신율 차이도 거의 없는 편이다.
냉동 과정에서 숙련된 연구진의 역할도 아주 중요하다. 정확한 냉동 속도와 조건을 조절해 난자의 손상을 최소화해야 높은 생존율과 임신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오늘날 여성들은 많은 기회를 누리고 있지만 생물학적 한계는 여전히 존재한다. 냉동 난자는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하나의 방법이자 인생의 중요한 순간을 스스로 준비하는 지혜로운 선택이 될 수 있다.
설현주 과장은 "난자 냉동을 고려하고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해 본인에게 맞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