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증상인 가려움증은 개인의 건강, 스트레스, 긴장, 등 많은 요인으로 심해지기도 하며, 보통 낮보다는 야간에 더 심해진다. 습진 환자 중 상당수가 가려움을 참지 못해 피부를 긁게 되는데, 이는 환부에 상처를 유발하고, 해당 부위를 통해 2차 세균 감염, 노란 진물, 노란색 인비늘 등으로 고생할 수 있다.
습진은 나타나는 증상과 경과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뉜다. 또한 원인과 발생 부위에 따라 주부습진, 한포진, 기저귀 피부염 등과 같은 접촉 피부염과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동전모양습진(화폐상습진), 울체, 건성습진 등 다양하다.
습진의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지만, 면역력 저하와 외부 자극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수면부족, 인체 부조화, 자율신경계 이상, 열 대사 장애 등이 함께 복합돼 나타날 수도 있다.
습집은 한번 발병하면 오랜 기간 증상이 이어지지만, 초기에 올바른 치료를 시작해 성실하게 임한다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증상이 나타나면 방치하지 말고 바로 의료진을 찾아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원에서는 습진 치료 시 개인의 증상과 체질에 맞는 한약, 한약을 정제한 약침, 피부 기혈을 자극하는 침과 뜸 치료를 시행한다.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신체 내부의 면역력과 몸 안의 체온을 낮추는 등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체내에 나타나는 독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해당 치료를 통해 재발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습진 질환 외에도 아토피, 여드름, 건선 질환 등 다양한 치료에 꾸준히 적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습진 질환은 올바른 치료도 중요하지만, 일상생활에서의 패턴 개선도 중요하다. 피부 보습, 피부 자극 주의, 식단 개선, 충분한 수면과 휴식, 꾸준한 운동 등이 있다.
(글 : 송성문 생기한의원 창원점 대표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