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설탕이 아이들을 더 과민하게 만들까?
메디컬뉴스투데이(MedicalNewsToday)는 설탕이 어린 아이들에게 과잉활동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연구 결과에 대해 보도했다.

설탕과 어린이의 과잉행동

설탕이 어린이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의문은 1990년대부터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연구도 잇따랐다. 1995년, 미국 항공우주국은 16개의 과학 논문에서 23개의 실험 결과를 종합한 메타 분석을 발표했다.

자료를 분석한 후, 저자들은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의 메타 분석에 따르면 설탕(주로 자당)이 아이들의 행동이나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저자들은 ‘작은 효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며, 여느 때처럼 대규모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특정 섹션의 아이들이 설탕에 다르게 반응할 가능성도 제시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전반적으로 많은 부모들이 보고하는 것만큼 설탕이 아이들을 과민하게 만드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어떤 아이들이 설탕에 더 민감할까?

일부 부모들은 그들의 아이가 설탕에 특히 민감하다고 믿는다. 이것이 사실인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한 그룹의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두 그룹의 어린이들을 비교했다. 첫 번째 그룹은 3-5세 아동 25명이 모였고, 두 번째 그룹은 6-10세의 23명의 아이들이 모였으며 특히 부모들이 설탕에 민감하다고 말한 아이들이다. 각 가정은 차례로 세 가지 실험적인 식단을 따랐고, 각각 3주 동안 실시했다. 그 식단은 다음과 같았다.

①자당 함량이 높고, 인공 감미료가 없음

②수크로스(포도당과 과당으로 구성되어진 비환원 이당류)는 낮지만 아스파탐을 감미료로 사용함

③수크로스 함량은 낮지만, 사카린을 감미료로 사용함

이 연구에 아스파탐이 포함된 이유는 아스파탐 역시 아이들의 과잉행동과 행동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세 가지 식단 모두 인공 식품 착색제, 첨가제, 방부제는 없었다. 매주 과학자들은 아이들의 행동과 인지 능력을 평가했으며, 관계자는 분석 결과에 대해 “설탕에 민감한 것으로 묘사된 아이들의 경우, 39개의 행동과 인지 변수 중 어떤 것에서도 세 가지 식단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미취학 아동의 경우 3가지 식단에서 31개 조치 중 4개 조치만이 큰 차이를 보였고, 관찰된 차이점에는 일관된 패턴이 없었다”고 전했다.

2017년 국제식품과학영양학술지에 관련 연구결과가 나온 적 있다. 연구원들은 설탕 섭취가 8-12세 어린이 287명의 수면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과학자들은 음식 빈도 설문지와 인구통계. 수면, 행동 설문지로부터 정보를 수집했다. 놀랍게도 81%의 어린이들이 하루 권장 설탕 섭취량보다 더 많이 섭취했다. 그럼에도 연구진은 “총 설탕 소비는 행동이나 수면 문제와 관련이 없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설탕이 과잉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도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고, 대다수의 아이들에게까지 확대되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왜 계속 설탕이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어질까?

일부 독자들은 여전히 “설탕이 어린이들에게 과잉활동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증거가 없다는데, 왜 우리 아이에게는 과잉활동이 나타나는가”라며 반문할지도 모른다. 슬프게도, 그 비난의 일부는 부모의 기대에 달려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점을 다룬 연구는 1994년, <이상적 아동심리학 저널>에 실린 바 있다. 연구원들은 5-7세의 35명의 소년들을 모집했는데, 그 소년들의 어머니들은 그들을 행동적으로 이미 ‘설탕에 민감하다’고 묘사했다.

해당 연구에서 아이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그들은 모두 아스파탐을 직접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아닌, 플라시보를 받았다. 이때 엄마들의 절반은 아이들이 모두 플라시보를 받았다고 들었고, 또 다른 절반의 엄마들은 그들의 아이들이 많은 양의 설탕을 받았다고 들었다.

그 결과에 대해 관계자들은 “설탕을 섭취했다고 들은 엄마들은 자녀들이 훨씬 더 과잉 행동적이라고 평가했다. 행동 관찰결과 이들 엄마들은 신체적 친밀감을 유지하며 통제력을 더 발휘했고, 통제 엄마보다 아들에게 더 많은 비판과 관찰, 대화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설탕이 아이들을 더 과민하게 만든다는 가설을 굳히는 데 미디어 매체 또한 큰 몫을 한다. 만화에서 영화까지 ‘설탕 러시’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 이와 같은 콘텐츠에서 아이에게 설탕을 과다하게 주는 설정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일 파티와 같은 때, 아이들이 사탕을 먹는 것과 상관없이 그런 환경에서는 흥분하기 쉬움에도 불구하고 꼭 마치 사탕을 먹은 것 때문에 흥분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어떠한 일에 대한 보상으로 사탕을 받는 것도 그렇다. 그것이 사탕이라는 것과 관계없이 보상이라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소란스러운 흥분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탕 섭취 자제 필요한 이유?

설탕은,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과잉활동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진행될 연구에서 몇몇 효과를 발견할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 나온 증거로는 그렇다. 그러나 이로 인해 설탕이 많이 들어간 식단이 당뇨병, 체중증가, 충치, 심장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어린이를 비롯해 모두가 설탕 섭취를 자제하고, 조심하는 것은 여전히 좋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