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임상암학회 연례학술대회,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연구자 참여 연구 139건 발표 , 주연구자로 참여한 연구 결과가 44건

장대영 회장은 “올해 ASCO에서는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회원이 주연구자로 참여한 연구가 지난 몇 년에 비해 확연히 늘어나, 항암 치료 환경 개선에 대한 국내 의료진의 관심과 열정을 체감할 수 있었다. 특히 주요 암과 희귀암에 걸쳐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 등의 치료제뿐만 아니라 항암 효과 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가 공유되며 항암 치료 전략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의의를 밝혔다. 또한 “암 치료 국내 유일 임상연구 학회인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이러한 임상연구를 통해 암환자 치료 성적을 높이고 환자들의 고통을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숙련 교수, 대변이식술 통해 면역항암제 내성 극복 가능성 확인 연구 결과 발표

이 가운데 박숙련 교수(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는 올해 ASCO 임상과학 심포지엄(Clinical Science Symposium)에서 면역항암제에 좋은 치료 효과를 보인 환자의 대변을 면역항암제 내성 환자에게 이식한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총 13명의 고형암(간암, 위암, 식도암) 환자에게 대변을 이식한 결과, 1명의 암 크기가 매우 감소하고 5명의 암 크기가 안정화돼 대변이식술의 임상적 효과 및 항암 면역 활성화 효과가 확인됐다. 박 교수는 “본 연구는 추후 고형암에서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면역항암제 내성 극복 가능성을 임상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장내 미생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항암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유창훈 교수, 전이성 담도암 대상 펨브롤리주맙 포함 3제 요법의 삶의 질 유지 연구 결과 발표

젬시타빈 (Gemcitabine)+시스플라틴(Cisplatin)+펨브롤리주맙 3제 요법과 젬시타빈+시스플라틴+위약을 비교한 3상 임상의 하위 분석 연구 결과, 펨브롤리주맙을 추가했을 때 환자가 느끼는 삶의 질은 위약군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 교수는 “이번 분석을 통해 젬시타빈+시스플라틴+펨브롤리주맙 요법은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을 개선하는 효과와 함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적고 안전하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펨브롤리주맙을 포함한 3제 요법이 담도암 환자의 1차 치료의 표준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고 덧붙였다.
라선영 교수, HER2 음성 전이성 위암에서 면역항암제 최대 효과군 확인을 위한 하위그룹 분석 결과 발표

분석 결과, PD-L1 복합양성점수(CPS)가 1 이상이거나 10 이상인 환자군 모두에서 펨브롤리주맙 병용군의 생존기간과 반응률이 향상됐다. 라 교수는 “본 연구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암의 1차 치료에서 면역항암제를 병용하는 치료법이 표준치료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나아가 최대의 효과를 줄 수 있는 환자군을 선별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지속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준 교수, 삼중음성 유방암 선행항암요법 시 종양 내 마이크로바이옴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발표

분석은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인 GEO(Gene Expression Omnibus)와 TCGA(The Cancer Genome Atlas)에 등록된 종양 내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와 임상정보를 바탕으로, 선행항암요법 후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군과 그렇지 못한 환자군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약제에 대한 반응과 연관성을 보이는 여러 마이크로바이옴을 찾을 수 있었고, 이러한 마이크로바이옴들이 종양 주위의 면역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삼중음성 유방암의 선행항암요법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임상현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강윤구 교수, 국소진행성 위암에서 수술 전 선행화학요법 전체생존기간 연장 연구 결과 발표

홍민희 교수, EGFR 표적항암제 치료에 실패한 뇌전이 비소세포폐암 대상 레이저티닙의 두개내 효능에 대한 연구 결과 발표

또한 연구 참여자의 대다수를 차지한 T790M 음성 환자와, 매우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연수막 전이 환자에서도 우수한 두개내 반응률을 보였다. 홍 교수는 “레이저티닙은 기존 EGFR 표적치료제 치료에 실패한 뇌전이 환자에게서 T790M 변이 상태와 관계없이 상당한 중추신경계 활성(CNS activity)을 보였다”고 말하며 “이는 1, 2세대 표적치료제 사용 후 중추신경계 전이가 진행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국소 치료 대신 레이저티닙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한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뜻한다”고 전했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