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초동맥질환, 혈액투석, 항균제 관리 등...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족부&당뇨발센터 연구
절단은 일반적으로 당뇨발 감염이 항균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나 감염의 부위가 광범위하고 괴사가 진행하는 경우에 시행한다. 절단술을 받았다 하더라도 절단면의 잔류 감염의 유무와 절단 이후 경과가 치료의 예후를 결정한다.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백예지·이은정 족부&당뇨발센터 교수팀(정종탁, 원성훈, 안치영, 천동일, 김태형)은 절단술을 받은 당뇨발 골수염 환자들의 역학적, 임상적 특징과 치료 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절단을 받은 101명의 당뇨발 골수염 환자였고,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일차 절단 후 절단면의 상태와 절단 후 임상 양상 결과에 따라 치료 성공, 치료 실패 로 그룹화를 하여 치료 실패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치료 성공은 절단 후 6개월 후 감염 징후 없이 절단면이 유지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절단술이 필요한 당뇨발 골수염의 원인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17%)과 슈도모나스균(14%)이 가장 흔하였다. 그람음성세균은 62%의 환자에서 분리되었다.
혈액투석과 발목 상완지수(Ankle Brachial Index: ABI)가 0.6이하인 경우, 당뇨발 골수염 환자의 치료 실패와 관련한 예후 인자였다.
적절한 항균제 관리가 사망률 감소에는 기여하진 못 했지만, 발목 윗부분까지 절단을 받은 환자는, 발의 일부부만 절단한 환자에 비해 항균제 치료 기간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절단을 최대한 하지 않고 발을 유지하고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이 의학적인 숙제이다.

연구팀의 논문은 ‘절단술은 받은 당뇨발 골수염: 역학과 치료 실패의 예후인자 (Diabetic Foot Osteomyelitis Undergoing Amputation: Epidemiology and Prognostic Factors for Treatment Failure)’라는 제목으로 Open Forum Infectious Disease 에 게재했다.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