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질환은 허리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해 환자들이 혼동하기 쉽다. 두 질환 모두 허리 통증을 일으키며, 다리가 저리거나 걸을 때 통증이 발생해 보행에 어려움을 주는 공통점을 가진다. 하지만, 통증 양상에서 차이가 있다.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지는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펴거나 일어설 때 더 큰 통증을 느낀다. 이는 좁아진 척추관이 신경을 더 강하게 압박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되는데, 이는 좁아진 신경 통로가 잠시 넓어지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의 또 다른 증상으로는 다리 저림과 엉치뼈 통증, 종아리의 통증 등이 있다. 특히 오래 걷기 어렵거나 걸을 때마다 다리 근육이 가늘어지고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면 단순히 ‘나이 탓’으로 넘기지 말고 조기에 의료진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으로 시작되지만, 방치하면 척추 신경이 손상돼 다리 마비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으로 완치가 어려운 만큼, 조기 치료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그리고 주사치료 등이 있다. 약물치료는 통증을 줄여주고 염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도수치료와 물리치료는 척추의 정렬을 교정하고 주변 근육을 이완시켜 신경 압박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비교적 안전하고,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보존적 치료만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통증이 심해진다면, 비수술적 방법인 신경차단술을 고려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은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 주변에 약물을 주입해 염증과 부종을 가라앉히고, 신경의 압박을 줄여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이다. 특수 영상 증폭장치인 C-arm을 이용해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 부위를 정확히 찾아내어 시술하므로 효과가 높고, 시술 시간이 짧아 치료 후 바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치료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수다. 치료로 통증이 줄어들더라도, 신경이 다시 압박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평소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척추와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체중을 조절하여 척추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허리에 무리를 주는 과격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또한,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도 피하고, 틈틈이 자세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예방을 위해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허리를 보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의자에 앉을 때는 허리를 등받이에 밀착시켜 바르게 앉고, 장시간 앉아 있을 때는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바닥에 앉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를 피하고, 운동 전후로 충분한 준비 운동과 마무리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글 : 안양 강남척척통증의학과 이병도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