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매출 4조 2,599억 원, 영업이익 64% 증가... 미주 매출 중화권 추월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4년 해외 사업의 강세에 힘입어 실적 상승을 기록했다. 그룹은 전년 대비 5.9% 증가한 4조 2,599억 원의 매출과 64.0% 상승한 2,493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4년 해외 사업의 강세에 힘입어 실적 상승을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제공)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4년 해외 사업의 강세에 힘입어 실적 상승을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제공)

아모레퍼시픽그룹 관계자는 "서구권을 중심으로 한 해외 사업의 높은 성장세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라고 밝혔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연간 기준으로 처음 미주 지역 매출이 중화권을 추월했다는 것이다. 이는 그룹의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이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난해 2분기부터 아모레퍼시픽의 실적에 편입된 코스알엑스도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해외 사업 성장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브랜드별 성과를 살펴보면, 라네즈, 헤라, 에스트라, 일리윤, 라보에이치 등 주력 브랜드들이 선전했다. 채널 측면에서는 MBS(멀티브랜드스토어)와 온라인에서의 판매가 지속적으로 호조를 보였다. 주요 자회사 중 이니스프리와 에뛰드의 매출은 감소했으나, 에스쁘아, 아모스프로페셔널, 오설록은 경쟁력 강화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국내 시장에서는 면세 매출 하락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2조 1,57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러나 주요 브랜드들의 제품 리뉴얼과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를 통해 MBS와 온라인 채널에서는 견고한 성장을 달성했다. 국내 화장품 부문의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은 1.3% 증가했다.

럭셔리 브랜드 부문에서는 설화수가 '자음생' 라인의 리뉴얼과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성과를 거뒀다. 헤라는 '블랙 쿠션 파운데이션'이 국내 럭셔리 메이크업 부문 매출 1위를 차지하며 브랜드 파워를 과시했다. 아이오페 역시 레티놀 전문성 강화와 '슈퍼바이탈 6세대' 리뉴얼 출시 등을 통해 연간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이러한 결과는 아모레퍼시픽그룹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브랜드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채널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그룹은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도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