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은 척추를 지나는 신경의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에 압박을 가하면서 발생한다. 척추를 지나가는 신경은 다리로 이어지기 때문에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허리와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까지 통증이나 저림, 감각 이상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초기에는 간헐적으로 통증을 느끼지만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더욱 악화돼 다리 근육이 약해지거나 보행이 힘들어지는 ‘간헐적 파행’ 증상이 생길 수도 있다. 환자는 통증과 불편함으로 인해 제대로 걷지 못하게 돼 가다 서기를 반복하거나 자기도 모르게 허리를 구부리게 된다.

고령 환자의 경우, 척추 수술이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진단을 빨리 받아 비수술 치료를 통해 척추관협착증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ray나 CT 등 정밀 검사를 통해 병변 부위의 위치와 척추 상태를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 주사치료나 도수치료, 물리치료 등 비수술 치료를 적용한다.
C-arm을 이용한 주사 치료는 척추와 신경을 실시간으로 고해상도로 촬영해 정확한 병변 위치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정교한 시술이 가능하다. 염증을 완화하고 신경에 가해지는 압박과 자극을 줄여 증상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다. 마취, 절개 없이 진행하기 때문에 입원이 필요하지 않고 환자는 시술 후 바로 일상 생활로 돌아갈 수 있다.
도수 치료는 치료사가 손을 이용해 척추와 관절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척추의 정렬을 바로잡고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수 치료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며 운동이나 스트레칭과 병행하면 치료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런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 방법들은 모두 환자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을 개선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신체 활동량이 적은 현대인들은 척추의 퇴행성 변화 속도가 빨라 척추관협착증의 발병 연령대도 점점 낮아지는 추세다. 평소에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하고 척추를 건강하게 관리하고 싶다면 규칙적인 운동과 바른 자세 유지가 필수적이다. 특히 코어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과 스트레칭은 척추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허리 통증을 방치하지 말고 제때 병원을 찾아 의료진의 진료를 받는 것도 척추의 퇴행성 변화 속도를 늦추고 각종 척추 질환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다.
(글 : 김충기 구의탑정형외과 대표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