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기업들이 저출생 문제 해결에 적극 동참하고 나섰다. 임신·출산 관련 질환 관리부터 육아휴직 확대, 보육시설 운영, 출산 축하금 지급 등 다양한 출산·육아 지원 제도를 도입하며 일·가정 양립을 돕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동아제약은 출산 장려를 위한 경제적 지원을 확대했다. 출산 시 첫째 2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부터 100만 원의 출산 경조금을 지급하며, 추가적으로 500만 원의 축하금을 별도로 제공한다. 또한 매월 셋째 주 금요일을 ‘패밀리 데이’로 지정해 조기 퇴근(4시간) 제도를 운영하는 등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제도를 도입했다.
한독은 최근 출산 경조금 지급액을 대폭 상향 조정했다. 기존 10만 원이었던 첫째 출산 지원금을 100만 원으로 10배 인상했으며, 둘째는 50만 원에서 300만 원, 셋째는 100만 원에서 500만 원으로 각각 확대했다.
파마리서치는 출산 축하금으로 자녀 1인당 1000만 원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지원책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육아용품이 담긴 ‘마더 박스’를 제공하며, 자녀가 만 8세가 될 때까지 매월 양육지원금을 지급한다. 지급 금액은 1명 10만 원, 2명 30만 원, 3명 50만 원으로 차등 적용된다. 난임 지원 정책도 도입해 1회당 100만 원 한도 내에서 무제한 지원하는 등 출산 장려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임직원이 임신성 당뇨를 진단 받을 경우 연속혈당측정기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운영 중이다. 이는 지난해 출시한 인공지능(AI) 기반 모바일 혈당 관리 서비스 ‘파스타’와 연계된 신규 복지 혜택으로, 임산부의 건강 관리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임직원의 육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법정 기준(1년)보다 두 배 긴 최대 2년의 육아휴직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최신식 보육 시설을 갖춘 사내 어린이집을 운영하며, 정부 지원금을 제외한 차액을 전액 지원해 임직원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자녀를 맡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출산·육아 지원 정책은 기업이 인재를 유치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기업이 관련 제도를 도입하고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종균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