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부터 자립교육·일 경험까지 체계적 지원

부산시가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돕기 위한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내달 6일까지 지원 대상자를 모집하며, 사업은 청년재단과의 협업을 통해 부산사회서비스원이 수행기관으로 참여한다.

부산시가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돕기 위한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내달 6일까지 지원 대상자를 모집하며, 사업은 청년재단과의 협업을 통해 부산사회서비스원이 수행기관으로 참여한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돕기 위한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내달 6일까지 지원 대상자를 모집하며, 사업은 청년재단과의 협업을 통해 부산사회서비스원이 수행기관으로 참여한다. (부산시 제공)

이번 사업은 경계선지능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진단검사, 교육, 일 경험, 자조모임 등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경계선지능인 진단검사 지원’은 교육청의 지원을 받지 못한 아동·청소년 25명과 청년 40명 등 총 65명을 대상으로 한다. 간이검사지를 활용한 선별검사 후, 진단기관과 연계하여 검사 실비를 지원함으로써 경계선지능인 조기 발굴을 유도한다.

‘경계선지능청년 자립 응원 사업’은 청년 100명을 대상으로 소양교육, 직무훈련, 진로상담 등 3개월간의 자립교육을 제공하며, 우수 참여자 20명에게는 직장 체험을 포함한 2개월간의 현장 중심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시는 자조모임과 부모교육도 함께 운영해 당사자 간 소통과 양육자의 이해를 높이는 데도 주력한다.

경계선지능인은 지능지수(IQ) 71~84 범위에 해당하는 사람들로, 지적장애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평균 지능에는 미치지 못해 사회 적응과 경제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다. 그동안 복지 사각지대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정책적 접근이 요구돼 왔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실태조사와 5개년 기본계획 수립을 병행하고, 체계적인 지원 모델을 마련해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자립 지원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태기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은 “경계선지능인들이 사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며 “맞춤형 교육과 일 경험을 통해 이들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