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고개를 숙인 채 장시간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현대인이 늘고 있다. 그 결과 경추에 부담이 쌓이며 ‘일자목’과 ‘거북목 증후군’을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자세 문제처럼 보이지만, 이를 방치할 경우 심각한 척추질환인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

정상적인 경추는 C자 형태의 곡선을 이루며 목과 어깨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킨다. 그러나 잘못된 자세를 반복하면 이 곡선이 사라지며 일자에 가까워지는 ‘일자목’ 상태가 된다. 여기에 어깨가 굽고 머리가 앞으로 돌출된 자세가 지속되면 ‘거북목 증후군’으로 이어진다. 이는 단순히 보기 좋지 않은 자세의 문제가 아니라 목과 어깨 근육, 인대, 신경에 무리를 주는 해부학적 문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목 주변에 만성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두통이나 편두통, 눈의 피로감, 어지럼증 같은 증상까지 동반될 수 있다. 특히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이 증상들은 서서히 경추 디스크의 탈출을 유발하며 결국 ‘목디스크’로 악화될 수 있다.

이광진 구로 구로에이스정형외과 원장
이광진 구로 구로에이스정형외과 원장
목디스크는 경추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가 제자리를 벗어나 신경을 압박하면서 발생한다. 초기에는 목과 어깨의 뻐근함이나 저림으로 시작되지만, 진행되면 팔이나 손끝까지 저리는 방사통을 유발한다. 심할 경우 팔에 힘이 빠지거나 감각이 무뎌지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경추 질환은 빠른 시일 내에 정밀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받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 단계라면 비수술 치료만으로도 큰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도수치료와 신경차단술이 있다.

도수치료는 전문 치료사가 손으로 근육과 관절을 이완하고 정렬을 바로잡아 통증을 완화하는 방식이다. 부작용 위험이 적고 개인의 체형에 맞춰 진행되기 때문에 고령자나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도 부담 없이 받을 수 있다.

신경차단술은 특수 장비인 C-ARM을 사용해 병변 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약물을 정확하게 주입하는 시술이다. 마취 후 짧은 시간 내에 진행되며, 절개나 입원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회복 속도가 빠른 편이다. 바쁜 직장인이나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치료만큼 중요한 것이 생활 속 자세 교정이다. 스마트폰을 볼 때 고개를 숙이는 대신 눈높이에서 기기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고, 의자에 앉을 때도 등을 기대고 허리를 바로 세우는 것이 좋다. 하루 중 몇 차례라도 목을 좌우로 돌리거나, 하늘을 바라보며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경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작은 불편함이라고 방심한 채 자세를 방치하면 척추의 구조까지 변형되고 만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자목과 거북목 증후군이 의심된다면 조기에 진료를 받고, 평소 생활 습관부터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예방과 초기 치료만으로도 목디스크를 충분히 막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글 : 이광진 구로 구로에이스정형외과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