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데이터 연계로 보이스피싱 실시간 감지… 금융 피해 예방 본격화

IBK기업은행이 SK텔레콤과의 협업을 통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오늘부터 정식으로 운영한다.

IBK기업은행이 SK텔레콤과의 협업을 통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오늘부터 정식으로 운영한다. (IBK기업은행 제공)
IBK기업은행이 SK텔레콤과의 협업을 통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오늘부터 정식으로 운영한다. (IBK기업은행 제공)

이번 서비스는 SKT가 제공하는 고객보호 솔루션 ‘SurPASS’를 기업은행의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한 것으로, 고객의 전화 수·발신 내역과 통화 패턴을 분석해 보이스피싱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능을 갖췄다. 사전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적정성 검토를 거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안전장치도 마련했다.

SKT는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통화 패턴을 정의하고, AI 학습을 통해 의심 전화번호 DB를 구축한다. 기업은행은 고객의 금융 거래 과정에서 보이스피싱 의심 상황이 감지될 경우, 해당 고객이 위험 번호와의 통화 이력이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해 이체나 출금 차단 등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는 반복적인 통화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통화 기록과 금융 정보를 결합해 위험도를 분석하는 시스템은 예방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실제로 서비스 사전 테스트 기간 동안 총 26건, 약 5억 9천만 원의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중 일부는 금융 거래 발생 전 SKT의 탐지 정보만으로 예방된 사례도 포함돼 실효성을 입증했다.

김규섭 기업은행 금융소비자보호그룹장은 “보이스피싱으로부터 안전한 금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금융과 통신의 새로운 협력이 시작됐다”며 “앞으로도 고객 보호 강화를 위한 기술 기반 대응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지형 SKT Biz플랫폼사업본부장은 “통신 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대응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업은행은 지난해 9월 통신 3사(SKT·KT·LGU+)와 체결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KT와 LGU+와도 순차적으로 관련 서비스를 오픈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