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디지털암센터 연구팀, ‘JMIR mHealth & uHealth’ 발표
자기 효능감, 암 적응력, 삶의 질 향상되고 우울증, 불안장애 감소
이러한 가운데 최근 유방암 환자의 치료와 관리를 돕기 위해 개발된 디지털 맞춤형 스마트 앱 ‘CAMA(CAncer MAnager)’의 효과를 평가한 연구 결과가 소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선미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디지털암센터 연구팀(한덕현 정신건강의학과, 김희준 혈액종양내과, 김민균 유방외과 교수)은 ‘유방암 자가 관리 모바일 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평가(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Mobile App for Breast Cancer Self-Management on Self-Efficacy: Nonrandomized Intervention Trial)’라는 제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김선미 교수 연구팀은 2023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CAMA 앱을 사용한 유방암 환자(34명)와 앱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 치료를 유지한 유방암 환자(32명) 총 66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암 적응력, 삶의 질, 우울증, 불안, 정서 상태, 만족도 등의 척도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했다.
그 결과 CAMA 앱을 사용한 유방암 환자 그룹은 사용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해 암 생존자 자기효능감(CSSES-K), 삶의 질(WHOQOL-BREF), 암에 대한 심리적 적응도(K-Mini-MAC) 척도에서 더 나은 효과를 보았으며, 우울증(PHQ-9), 불안장애(GAD-7), 폐경기 정서증상(MESQ)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CAMA 앱 사용 그룹에서는 도움 및 지지 추구에 대한 자기효능감(CSSES-K) 점수가 38.2점에서 39.9점으로 향상된 것에 반하여, 비사용 그룹에서는 37.2점에서 34.5점으로 저하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CAMA 앱 사용 그룹에서는 심리적 웰빙과 관련된 삶의 질(WHOQOL-BREF) 척도 점수가 13.1점에서 13.8점으로 소폭 호전된 반면, 비사용 그룹에서는 14.0점에서 12.7점으로 감소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암에 대한 심리적 적응도(K-Mini-MAC) 척도 소항목 중에서 불안 몰두 점수는 CAMA 앱 사용 그룹(22.2점에서 19.2점으로 감소)에서 비사용 그룹(20.4점에서 19.9점으로 소폭 감소)에 비해 호전되는 경과를 보였고, 긍정적 태도 점수는 CAMA 앱 사용 그룹(27.3점에서 27.8점으로 소폭 향상)에서 비사용 그룹(27.2점에서 25.3점으로 저하)에 비해 호전되는 경과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
또한, CAMA 앱 사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암환자의 앱 사용이 암 치료에 있어 신뢰감을 형성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연구팀은 암 환자 자가 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인 CAMA가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암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게 하고, 우울감과 불안 등을 호전시켜 주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중앙대병원 디지털암센터의 CAMA+ 앱의 개발은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국립암센터의 암생존자헬스케어연구사업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연구팀의 이번 연구는 세계적 헬스케어과학(HEALTH CARE SCIENCES & SERVICES) 분야 상위 20%에 해당하는 SCIE급 국제학술지 ‘메디컬 인터널 리서치 모바일 헬스 앤 유비쿼터스 헬스 저널(JMIR mHealth and u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
중앙대병원은 2022년 3월 ㈜엔씨소프트와 암 환자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를 위한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암 관련 디지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암 시기별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프로토콜을 개발해 암 관리 디지털시스템을 구축한 뒤, 온라인에서 암 환자 관리를 위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디지털시스템인 ‘디지털암센터(Digital Cancer Agent Monitoring Center; D-CAM Center)’를 운영하고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