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이 경미한 무릎 퇴행성관절염 초기의 환자는 적극적은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 다리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호전에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BMAC)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주사 치료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내 주사하는 것으로, 주사 치료만으로 뼈연골 조직의 재생을 도모할 수 있다.

무릎인공관절수술은 뼈 끝에 남아있는 뼈연골을 모두 제거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무릎 상태에 따라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만 대체하거나 전체를 대체할 수 있다.
무릎인공관절수술 후에는 초기 6주의 재활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무릎관절에 경직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절 가동 범위를 확보해야 하며, 보행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다리 근력의 점진적인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무릎관절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목 및 허리의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것도 회복에 도움이 된다.
(글 : 김상범 잠실 선수촌병원 원장)
키워드
#무릎인공관절수술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