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퍼시픽안과배소현원장
서울퍼시픽안과배소현원장
고혈압 환자는 추운 날씨로 인해 크고 작은 합병증을 앓게 된다. 날씨가 추워지면 혈액 순환에 이상이 생겨 여러 가지 혈관 질환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가 눈에 생긴 것을 ‘망막정맥폐쇄’라 한다. 망막정맥은 망막으로 공급되었던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 혈관인데, 망막정맥폐쇄가 발생하면 혈액 순환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아 시력 감소를 초래하는 것이다.

망막정맥폐쇄는 폐쇄된 혈관의 중요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망막 정맥은 크게 중심 정맥과 분지 정맥으로 나뉜다. 만약 망막중심정맥이 폐쇄되면 시력이 급격하게 감소되며 망막분지 정맥이 폐쇄되면 폐쇄된 정맥의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망막 동맥 역시 폐쇄될 위험성이 있으며 망막 동맥이 폐쇄된 경우에도 중심 동맥인지 분지 동맥인지에 따라 시력 저하의 정도가 달라진다.

망막중심동맥이 폐쇄된 경우에는 망막 세포가 필요로 하는 산소나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매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즉시 치료를 하더라도 경과가 좋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망막분지동맥이 폐쇄된 때에는 그나마 중심동맥이 폐쇄된 경우에 비해서는 경과가 좋은 편이다.

망막중심정맥이 폐쇄되면 망막중심동맥 폐쇄보다는 상태가 낫지만 황반부종이나 유리체 출혈, 녹내장 등 여러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안심하기 어렵다. 황반부종이나 유리체 출혈, 녹내장 등은 시신경이나 시세포의 손상을 야기하며 한 번 손상된 시세포나 시신경을 다시 되살릴 수 있는 치료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후유증이 나타났을 때의 치료와 경과는 매우 어렵다.

다행히 망막분지정맥 폐쇄가 나타난 경우에는 비교적 치료 효과가 좋은 편이고 황반부종이 없는 한 시력 저하도 크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폐쇄된 상태가 지속되면 줄어든 혈류량을 다시 늘리기 위해 비정상적 신생혈관의 발생을 초래하게 되며 해당 혈관에서 출혈 등이 발생하면 큰 문제가 일어날 수 있어 치료를 늦춰선 안 된다. 망막정맥폐쇄나 망막동맥폐쇄는 매우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응급 질환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망막정맥폐쇄는 치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고혈압이나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일교차가 큰 계절, 추운 계절에 건강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안과를 방문하여 안저검사를 받아보아야 한다. 기저 질환을 앓고 있다면 연 2회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편이 바람직하며 특별한 질환이 없더라도 40세 이상부터 연 1회 검사를 통해 눈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질환이 발병하여 시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평소에 적극적으로 안구 건강을 챙겨야 한다.

(글 : 서울퍼시픽안과 배소현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