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바른세상병원양성욱원장
서울바른세상병원양성욱원장
꽃샘추위가 물러가고 어느덧 기온이 올라가는 봄이 찾아옴에 따라 외부활동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 러닝, 등산 등 다양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경우 무릎을 많이 쓰는 운동을 하는 이들은 부상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관절의 뼈와 뼈 사이에서 안쪽과 바깥쪽에 반월 모양으로 생긴 구조물로 체중을 지지하고 무릎으로 오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쿠션 역할을 하면서 연골을 보호하는 구조물이다. 이에 관절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해주는 윤활 작용을 하면서 주변 인대를 도와 무릎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하므로 무릎 기능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다만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질 시 ‘퍽’하고 터지는 소리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무릎이 다친 채로 걸을 수 있으며 운동선수들도 파열이 발생한 후 운동을 지속한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반월상 연골판이 느슨해져 관절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무릎에서 소리가 나고 미끄러질 수고 있으며, 무릎이 더 뻣뻣해지고 부어오르며 무릎관절 운동범위가 제한되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될 경우,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는데, 비수술치료는 운동, 재활, 주사치료 등이 있으며, 수술 치료에는 반월상 부분절제술, 연골판 봉합술, 연골판 이식술 등이 있다.
‘연골판 부분 절제술’이란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되었을 경우 파열된 조각에 의해 관절 연골이 긁히거나 손상이 될 가능성이 높을 때, 문제가 되는 파열된 연골판 부분만 제거한 후 그 주변을 정리하여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해 주는 수술법이다.

아울러 ‘연골판봉합술’은 찢어진 연골판을 봉합하는 수술로, 파열면의 상태가 깨끗하여 봉합이 가능한 경우 찢어진 연골판의 두 부분을 실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봉합해주는 방법이다.

다만 연골판의 심한 파열이나 원판형 연골판의 손상 등으로 인해 남아있는 연골판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연골판 이식술’이 필요하다. ‘연골판 이식술’은 심하게 손상된 연골판에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여 정상적인 기능으로 회복시켜주는 수술이다. 수술 전 정확한 측정 후 관절 내시경을 통해 수술이 진행된다.

본 수술은 새로운 연골판을 뼈와 같이 이식하는 만큼 안정적인 유합을 얻을 수 있으며,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관절을 보전하며 치료할 수 있는 만큼 합병증이나 부작용 등의 가능성이 적은 편이다. 아울러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절개법으로 진행되는 만큼 회복도 빠르다는 것이 특징이다.

연골판은 외상으로도 발생하지만 오랜 기간 증상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어 초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다.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술 후 1~2달은 목발보행, 2달 이후 보조기 착용이 필요하며, 6~9개월 동안은 무리한 운동은 제한하면서 무릎이 완전히 회복되기 전까지는 무릎에 부담을 주는 행동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글 : 서울바른세상병원 양성욱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