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정애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요구자료인 ‘상위 5개 청소년 정신질환의 연령별·성별 진료 실인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2018년~2022년) 우울에피소드와 기타불안장애로 진료를 받은 청소년의 과반 이상은 여자청소년이었고 성장할수록 환자 수가 증가하는 반면, 운동과다장애(ADHD)와 틱장애로 진료를 받은 청소년의 과반 이상은 남자청소년이었고 성장할수록 환자 수가 감소했다.
최근 5년간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진단받은 정신질환은 우울에피소드(F32), 기타불안장애((F41),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F43), 운동과다장애(F90), 틱장애(F95)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질환 모두 2018년에 비해 2022년 진료 인원이 크게 늘어 ▲우울에피소드 61.2%, ▲기타불안장애 84.2%,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 61%, ▲운동과다장애 68.1%, ▲틱장애 45.7%, ▲전체 65.5%의 증가율을 보였다.

성별 격차를 보인 정신질환들을 연령에 따라 분석했을 때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자청소년들이 진료 인원의 과반을 차지한 우울에피소드와 기타불안장애는 성장할수록 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남자청소년들이 진료 인원의 과반을 차지한 운동과다장애와 틱장애는 성장할수록 환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한정애 의원은 “청소년 정신질환 환자 수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대책은 보건복지부, 교육부, 여성가족부에 각각 분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예산과 인프라 부족으로 미미한 수준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하며, “청소년 정신건강의 양상이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수치상으로 나타난 만큼, 연령과 성별에 맞추어 상담, 예방, 치료, 관리 등 전주기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