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근골격계 질환만큼이나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이 있어 눈길을 끈다. 바로 하지정맥류다. 장시간 한 자세를 지속하면 근골격계 건강이 나빠지는 것처럼 혈관 건강도 위험해질 수 있다. 특히 다리가 위험한데, 다리는 우리 몸 중 가장 아래에서 체중을 부담하고 중력의 영향을 그대로 받기에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하루의 대부분을 앉아서 보내는 현대인들이라면 근골격계 질환 예방도 좋지만 하지정맥류 예방에도 만전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 혈관의 순환을 돕는 판막이 기능을 상실하면서 각종 이상 증상을 동반하는 혈관질환이다. 판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심장으로 올라가야 할 혈액이 역류하면 정맥 내에 고이는 혈액량이 늘어나게 된다. 이는 곧 정맥 혈관의 탄력성을 떨어뜨리고 확장시켜 결국 하지정맥류에 이르게 만든다.
초기 하지정맥류는 일상 중 겪기 쉬운 다리 피로감, 부종 등의 증상으로 찾아와 방치하기 쉬운 편이다. 그러나 이때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점점 더 심해지면서 다리 혈관 돌출, 다리 저림과 당김, 간지러움, 무거움, 경련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또 훗날 다리 피부색 착색, 피부염, 피부 괴사 및 궤양, 혈전증 등의 합병증까지도 찾아오게 만든다.
특히 다리 경련 증상은 다른 말로 '다리에 쥐가 난다'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는 한밤 중 자다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숙면을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증상이 찾아왔다면 즉시 하지정맥류 정밀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좋은 하지정맥류는 진단 시기가 빠를수록 좋은 예후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초기 하지정맥류는 환자 상태에 맞는 의료용 압박스타킹과 약물치료,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치료시기가 늦었거나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심각한 증상이 동반되는 상황이라면 보다 더 적극적인 시술 및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타깝게도 하지정맥류는 재발 가능성이 있어 성공적으로 치료를 마쳤다 하더라도 생활 습관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다시 나타나기 쉽다. 평소 앉아있는 시간 길다면 틈틈이 일어나 스트레칭과 산책을 해주는 게 좋고 신선한 야채와 과일, 해조류 등 혈액을 맑고 깨끗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식단을 구성하여 섭취하는 것도 좋은 관리법이 될 수 있다.
(글 : 서울하정외과 나창현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