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꿈꾸는 동안 과격한 신체 반응이 주된 특징
-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 커 조기 치료가 중요
렘수면 행동장애는 꿈을 꾸는 동안 신체가 과격하게 반응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발길질이나 팔을 휘두르는 동작부터, 침대에서 떨어지거나 욕설을 하는 등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인다. 단순한 잠꼬대와는 다르게, 렘수면 행동장애는 폭력적인 성향을 띠기도 하며, 이러한 행동은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함께 자는 가족에게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렘수면 행동장애는 단순히 수면 중 나타나는 이상 행동이 아니라, 뇌의 신경 퇴행과 관련이 깊다. 캐나다의 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의 약 50~80%가 10년 내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이러한 연관성은 신경계 퇴행성 변화가 수면 중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운동 패턴으로 먼저 드러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렘수면 행동장애는 뇌의 신경 기능이 점차적으로 손상되면서 나타나는 초기 증상일 수 있으며, 뇌 질환의 조기 발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치료는 주로 약물치료와 안전한 수면 환경 조성에 중점을 둔다. 안정제를 취침 전에 복용하면 과격한 신체 움직임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환자가 수면 중 자신이나 타인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위험 요소를 제거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렘수면 행동장애가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만큼, 가족들의 세심한 관찰이 중요하다. 환자의 걸음걸이가 불안정하거나 손 떨림, 기억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꾸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