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열성 감염병은 진드기와 설치류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이다.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는 쯔쯔가무시증과 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있는데, 보통 잔디나 풀에 붙어있는 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하게 된다.
또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쥐)를 통해 걸리는 감염병으로는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 등이 있다. 렙토스피라증은 설치류의 소변에 오염된 물이 상처 등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면 감염된다.
신증후군출혈열은 설치류의 분변, 오줌 등과 함께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사람의 호흡기로 바이러스가 들어가면서 전파된다.
최원석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9월에 환자 발생이 늘어나고 10∼11월에 환자 발생이 가장 많다"면서 "털진드기 유충이나 쥐가 대개 가을철에 번식하는데 이때 중간 매개체가 많아진다는 점이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1∼3주의 잠복기 이후 고열, 오한, 두통 등 증상이 나타난다. 감기, 코로나19와 증상이 비슷해 방치하기 쉽다.
윤지현 건국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증 같은 경우에는 진드기가 문 자리에 까만색 딱지가 앉는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렙토스피라증 같은 경우에는 결막이 빨갛게 변한다든지 하는 특징이 있다"면서 "증상이 생기면 무시하지 말고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런 발열성 감염병은 보통 약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윤지현 교수는 "쯔쯔가무시증이나 렙토스피라증 같은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를 하게 되는데 합병증이나 사망에 이르는 분들을 많이 보지는 못했다"면서 "신증후군출혈열 같은 경우에는 그렇게 효과적인 치료 약제가 있는 건 아닌데 환자가 증상이 있으면 그 증상에 맞춰서 치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강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최원석 교수는 "되도록 긴팔, 긴바지 같은 것을 입는 것이 좋고, 진드기 기피제 같은 약물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라며 "야외 활동 후엔 물린 자국이 있는지 한 번 정도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고여 있는 물 같은 곳에도 상처가 있는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 좋다"고 조언했다.
또 "신증후군출혈열은 백신이 있는 질환인데, 군인이나 추수기 농부 등 가을철에 야외 활동이 불가피하게 있는 분들의 경우에는 접종하면 도움이 되겠다"고 덧붙였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