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CT 검사 활용한 조기 진단의 중요성 급부상
- 진단 늦을수록 위험 커져, 미리 포착해 대처해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파킨슨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9년 12만5607명에서 2023년 14만2013명으로 약 13% 증가했다. 또한 같은 기간의 치매 진료 환자 수는 55만1845명에서 67만4963명으로 22.3% 늘었다.
센텀종합병원 신경과 유남태 교수는 “퇴행성 뇌질환은 점진적으로 악화되는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다. 그만큼 조기 발견이나 대처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고 말했다. 진단은 PET-CT(양전자방출 단층촬영) 같은 장비를 활용하고 이를 통해 신속히 대처하는 것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들 질환의 조기 발견에 있어 PET-CT 검사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PET-CT는 체내에 소량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한 후, 이를 통해 뇌의 대사활동을 시각화하는 고도 정밀 진단기법이다. PET-CT 검사법은 신경세포의 기능 이상을 조기 포착해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 치매를 초기 단계에서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파킨슨병은 PET-CT를 통해 도파민 전달체계의 변화를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어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도 병의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환자가 보다 빠르게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 증상의 악화를 지연시키고 일상 생활에서의 독립성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 진단에서도 PET-CT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검사를 통해 치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을 정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어 증상이 발현되기 이전에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조기에 발견된 알츠하이머 치매는 적절한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 등으로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