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에서부터 동맥과 정맥을 거쳐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은 신체 곳곳을 순환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보충하고 이로써 신체 기능이 제구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때 정맥은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다량 함유한 혈액이 심장에서 심장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돕는 통로 역할을 담당하지만 유전, 노화, 생활 습관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정맥혈관의 탄성이 저하되면서 원활한 혈액순환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심장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한 혈액이 아래에 고이게 되면서 정맥 내 압력 상승으로 인해 하지정맥류를 유발하게 되는데,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 내 판막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혈관 질환이다.

이동기 울산 닥터적맥의원 원장
이동기 울산 닥터적맥의원 원장
판막 손상으로 혈액의 역류가 진행되기 시작하면 혈관 벽이 점차 늘어지게 되면서 결국 압력을 버티지 못해 부종, 중압감, 경련, 쥐 내림, 울퉁불퉁한 혈관 돌출 등 여러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방치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신체 곳곳을 순환하며 노폐물을 걸러낸 혈액이 하체에 머무르게 되면서 피로 물질이 심장에서 걸러지는 것이 아닌 다리에 쌓이기 때문에 염증은 물론 다리 위주로 심한 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할 경우 팽창된 혈관이 주변 신경 조직과 혈관을 압박해 색소침착, 피부궤양 등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치료 시기가 늦어지지 않도록 빠르게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정맥류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초음파 검사 결과상 문제 되는 혈관의 위치, 혈류의 흐름, 역류 정도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경과 정도에 따라 경미한 상태일 경우 의료용 압박스타킹을 착용하거나 약물치료를 통해 비교적 수월하게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시기가 늦어지지 않도록 조기 발견을 위해 신경을 써야 한다.

하지정맥류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 혈관 질환이기도 하지만 혈액순환 장애가 원인이 되는 만큼 부종, 다리 저림, 경련 등 단순히 하체 피로감이 높은 상황과 증상이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어 쉽게 놓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지정맥류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잘 알려진 혈관 돌출 이외에도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만큼 하체 주위로 불편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글 : 이동기 울산 닥터적맥의원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