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징병원 의료진 수술 장면(웨이보 캡처)
중국 시징병원 의료진 수술 장면(웨이보 캡처)
중국이 유전자 편집 돼지의 신장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하며, 이종 간 장기이식 분야에서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종 간 장기이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중국이 이번 성공 사례를 계기로 이 분야에서 더욱 빠르게 도약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블룸버그 통신은 13일 중국 관영매체 차이나데일리를 인용해 중국 의료진이 이종 간 장기이식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수술은 지난 6일 중국 북서부 시안의 공군 군의대학 부속 시징병원에서 진행됐으며, 69세 환자에게 유전자 편집 돼지 신장이 이식됐다.

의료진에 따르면 수술 후 약 일주일간 상태를 면밀히 평가한 결과, 돼지 신장이 환자의 몸에서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도 수술 3일째부터 정상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이식 가능한 장기의 부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환자가 장기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종 간 장기이식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성공 사례는 아직 많지 않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지금까지 신장 이종이식은 총 4건이 진행됐으며, 모두 미국에서 이뤄졌다. 지난해 3월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는 말기 신장질환을 앓던 62세 남성에게 유전자 변형 돼지 신장을 이식했으나, 환자는 수술 두 달 만에 사망했다.

미국 보건의료자원서비스청(HRS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에서 신장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는 약 8만9000명에 달하지만, 같은 해 신장 이식이 진행된 건수는 약 2만7000건에 불과했다.

중국도 상황은 비슷하다. 인민일보에 따르면 중국에서 만성 신부전 환자는 약 1억3000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 중 2%가 말기 신부전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매년 30만 명 이상이 장기이식을 기다리고 있지만, 실제 수술이 이루어지는 건수는 연간 2만 건 정도에 그친다.

이번 수술을 주도한 둬커펑 교수는 "말기 신장질환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한 획기적인 사례"라며 "이종 간 장기이식의 실현 가능성과 유효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이종 간 장기이식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안후이 의대병원 의료진은 71세 간암 환자에게 유전자 변형 돼지 간을 이식했다. 이는 뇌사 상태가 아닌 환자에게 돼지 간 이식이 진행된 세계 최초 사례로 기록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