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은 안압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돼 시야 결손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안내렌즈삽입술 후 녹내장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삽입 렌즈의 크기와 위치가 눈의 해부학적 구조와 맞지 않을 때이다. 렌즈가 눈 내부 공간보다 크면 방수(눈 내부의 투명한 액체)의 흐름을 방해해 안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녹내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색소성 녹내장도 있다. 이는 눈 안에 삽입된 렌즈가 홍채와 지속적으로 마찰하면서, 홍채에서 색소가 떨어져 나오는 것이 원인이다. 떨어져 나온 색소 입자가 눈 속을 순환하는 방수의 배출 경로인 섬유주를 막으면서 안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돼 녹내장이 발생한다.

녹내장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정밀 검사를 통해 렌즈가 삽입될 공간, 동공 크기, 방수의 흐름 상태 등을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수술 후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안압과 시신경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초기 녹내장은 자각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일정 간격으로 안과를 방문해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안내렌즈삽입수술은 주로 고도근시에서 이루어지는데, 고도근시 자체가 녹내장 발병률이 높은 눈이다. 따라서 같은 녹내장이라 하더라도 고도근시로 인한 녹내장인지, 안내렌즈에 의한 녹내장인지 구분이 반드시 필요하다. 단순히 고도근시로 인해 발병한 녹내장이라면 정상안압 녹내장이 많아 안내렌즈 제거 없이 녹내장 치료가 가능하지만, 렌즈가 원인인 경우에는 안압 상승을 동반해 렌즈 제거가 우선돼야 한다. 또 수술 가격에 따른 환자의 부담과 추후 치료 비용 문제 역시 중요한 고려 사항임을 꼭 기억해야 한다.
이처럼 안내렌즈삽입수술은 각막을 보존하면서도 고도근시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시력교정술이지만, 녹내장과 같은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감안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술 전 철저한 정밀 검사와 사후 관리가 필수적이며, 1년에 한 번 정기 검진을 통해 안압과 시신경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글 : 김준헌 강남조은눈안과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