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호 과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Failure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for geriatric trochanteric fracture: does quality of fracture reduction on the AP and lateral planes show the same results?」 (노인성 전자간 골절에 대한 골수강 내 고정술 후 실패: 전후 및 측면 골절의 정복의 정도는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가?) 라는 주제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60세 이상 고령 환자의 대퇴전자부 골절에 대해 골수강 내 금속정(intramedullary nailing) 수술을 시행한 후, 골절 부위의 정복 상태가 수술 실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전후(AP) 영상과 측면(lateral) 영상 각각의 정복 질이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첫 연구로 측면 영상에서 poor reduction(type P)이 있을 경우 수술 실패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짐을 규명했다.

조영호 과장은 "고령 환자의 골절 수술은 작은 차이에도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라며, "이번 연구가 임상 현장에서 수술 실패를 줄이고 환자 예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고령 환자의 골절 치료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