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석호 연세의대 안과 교수가 제33회 탑콘안과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변 교수는 망막질환으로 실명에 이른 환자들의 시력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안전성 높은 인공망막을 개발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고 병원측은 설명했다.탑콘안과학술상은 지난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안과의학자가 국내외에 발표한 논문 가운데 가장 우수한 업적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의학신문사가 주관하고 대한안과학회와 탑콘코리아메디컬이 후원한다. 시상식은 지난달 5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대한안과학회 133회 학술대회에서 거행된다. 변석호 교수의 연구 업적은 '시력 회복을 위한 액체 금속 기반 3차원 미세 전극 어레이를 이용한 이식형 초박형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이 ‘희귀안과질환: 우리아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희귀안과질환 알아보기’를 주제로 소아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건강강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오는 24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으로 송출되며,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후원한다.강좌에는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안과 의료진이 참여해 선천 눈질환(김정훈 교수), 소아 포도막염(이기황 교수), 소아 안종양(조동현 교수) 3가지 희귀안과질환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할 예정이다.‘선천 눈질환’은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질환으로 선천성 백내장, 소안구증, 무홍채증 등이 있다. ‘소아 포도막염’은 포도막을 구성하는 홍채·맥락막·모양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며, ‘소
신현진 건국대병원 안과 교수가 신경안과학회 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북미신경안과학회(NANOS, North American Neuro-Ophthalmology Society)’ 펠로우 멤버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출은 15일~20일 미국 애리조나 투산에서 진행됐다.북미신경안과학회는 학문적 연구와 임상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엄격한 심사를 거쳐 펠로우 멤버를 선정한다. 신경안과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으로 국제적 인정을 받은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명예다.신현진 교수는 신경안과 분야 전문가로 대한신경안과학회, 대한안과학회 등 국내 주요 학회를 비롯해 미국안과학회(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아시아태평양신경안과학회(Asian Neuro-
정도현 천안김안과 천안역 본점 대표원장과 김혜진 대표부원장, 한선협 원장이 지난 1일자로 삼성서울병원 소속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 교원으로 위촉됐다고 밝혔다.정도현 대표원장은 백내장 및 노안 수술 분야에서 오랜 경력을 자랑하며, 의사를 가르치는 의사로 인정받아 온 전문가다. 정도현 원장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 교수로서 수준높은 안과 진료와 학문적 연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들에게 더욱 고도화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수직을 통해 최신 연구 결과와 치료법을 병원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은 충남 지역 거점 안과로 환자들에게 최신의 의학 지식과 치료법을
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젝시믹스(XEXYMIX)가 모델 이시안과의 협력 관계를 지속한다고 지난 26일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고객 접점 확대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브랜드엑스 관계자는 "젝시믹스는 2022년부터 이시안과 함께 브랜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왔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한 "이시안이 젝시믹스가 추구하는 밝고 건강한 에너지를 잘 표현하며, 업계에서도 꾸준한 자기 관리와 성실성으로 인정받고 있다"라고 덧붙였다.이시안은 최근 넷플릭스 예능 프로그램 '솔로지옥4'에 출연해 독특한 외모와 솔직한 성격으로 전 세계 시청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를 통해 그의
아이리움안과가 올해도 아마추어 스키 선수들을 위한 제10회 한국아마추어레이싱스키대회를 후원했다고 밝혔다. 메인 후원사로서 대회 운영비를 전액 기부하고, 현장 의료 지원을 제공하며 선수들의 안전과 원활한 경기 운영을 지원했다. 지난 16일 모나파크 용평 레인보우코스에서 열린 이번 대회는 영하의 강추위 속에서도 참가 선수들의 열기로 뜨거웠다. 대한스키지도자연맹이 주최·주관하는 이 대회는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아마추어 스키 레이싱 대회 중 하나로, 초·중·고등부 스키 꿈나무 선수들을 비롯해 일반부, 시니어부, 마스터부까지 약 250여 명이 참가해 박진감 넘치는 레이싱을 펼쳤다. 경기는 대한스키지도자연맹 공식 유튜
김현승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안과 교수와 윤혜연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교수는 최근 인공 홍채 삽입술을 통한 홍채 결손 및 무홍채증 치료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임상 결과를 보였다고 발표했다고 밝혔다.카메라의 조리개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홍채는 동공 주변에 위치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이런 홍채가 없거나 불완전하게 형성된 무홍채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눈은 빛 조절이 어려워 눈부심과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홍채 결여로 인해 눈의 외형이 비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어, 환자의 미용적 목적을 위해서도 수복이 필요하다. 치료는 눈부심을 줄이고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착색된 콘택트렌즈를 처방할
천안 김안과 천안역본점(대표원장 정도현)은 2025년 2월 9일 개최된 제24회 대한안과의사회 정기학술대회에서 학술비디오 장려상을 수상했다.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은 지난해 9월 선제 도입한 "아큐트론 고주파 전기소작술을 이용한 결막이완교정수술법" 에 대한 영상을 제작해, 초심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수술방법 소개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천안 김안과 천안역본점 정도현 대표원장은 "이번 출품된 영상이 고주파 결막이완교정술의 지침서 역할을 해줄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와 임상교육을 통해 안과 진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원의 비전처럼, 이번 발표가 초심자와 전공의들을 포함한 많은 의료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이 2024년 AI 바우처 지원 사업 일환으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 황웅주 교수 연구팀은 이미지 생성 의료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안과 이미지 생성형 AI’를 개발했다. 본 기술은 임상 현장의 니즈를 반영해 기본 차트, 망막, 녹내장, 백내장맞춤형 표준 차트 서식을 제공하고 이미지 생성 기술을 활용해 의료진이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의무기록을 작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특히, 본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시야 예측을 위한 생성형 딥러닝 모델 연구’는 2024년 미국안과학회(AAO) 정기학술대회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이 2024년 한 해 동안 총 65건의 각막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 각막이식 분야를 선도하는 병원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밝혔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2023)에 따르면 우리나라 각막이식은 총 1140건으로, 여의도성모 안과병원의 올해 65건은 전체의 약 6%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단일 의료기관으로서 매우 높은 비율이라는 병원측의 설명이다.특히 65건 중 국내 기증각막 이식은 25건이다.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통계(2023)에서 국내 기증각막 이식 건수는 총 330건으로, 여의도성모 안과병원의 올해 25건은 전체의 약 8%를 차지하며 국내 3위 기록을 달성했다. ‘국내 기증각막 이식’은 국내 기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안과팀이 소아 근시 진행과 맥락막 두께 변화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며 근시 관리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정호경 교수, 이정헌 교수, 안지윤 교수, 신주영 교수, 이경민 교수, 오소희 교수를 비롯해 김마르다 동국대일산병원 교수와 김석환 더원서울안과 원장이 참여했다.근시는 동아시아에서 특히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국내에서도 주요 안과적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장기간 동안 소아 근시의 진행 과정에서 맥락막 두께 변화의 구체적인 양상과 시점을 규명한 연구 중 하나로, 고도근시의 조기 진단 및 예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최진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과 교수가 제25회 한국포도막학회 우수발표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이번 수상은 최진아 교수가 압구정성모안과(김민호‧박명희 원장 등)팀과 공동으로 연구한 ‘한국인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고안압성 앞포도막염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인자(Clinical characteristics of Cytomegalovirus-associated Hypertensive Anterior Uveitis in a Korean Case Series)’이 그 성과와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뤄졌다.한편, 한국포도막학회는 국내 눈염증질환(포도막염) 치료 환경 개선 및 연구, 교육을 위해 설립된 대한안과학회 산하 전문 학술단체다.
신현진 건국대병원 안과 교수가 2024년 아시아 신경안과학회(Asian Neuro-ophthalmology Society Meeting)에서 최우수 구연상(Best Oral Presentation Award)을 수상했다. 이번 학회는 지난 6~8일 홍콩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아시아 신경안과학회는 아시아 지역 권위의 신경안과학회로 2년마다 열린다.수상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비주얼 스노우 (Visual snow) 환자의 임상 양상’이다. 비주얼 스노우 증후군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화면에서 ‘지지직’ 거리는 노이즈 현상이 시야에 보이는 신경안과 질환이다. 스노우 글로브(snow globe)를 흔들었을 때 보이는 모습을 연상시켜 비주얼 스노우 신드롬(Visual Snow Syndrome)이라 불린다.이 외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은 글로벌 렌즈 기업 HOYA 에서 출시한 비비넥스 지메트릭 인공수정체를 2024년 5월부터 선제적으로 도입해 2024년 하반기 천안아산 최다 케이스 인증패를 받았다고 밝혔다.호야에서 출시한 노안백내장 삼중초점 인공수정체 비비넥스 지메트릭 (Vivinex™ Gemetric™ Family)는 근거리와 원거리 빛의 비율을 다르게 분배해 두 가지 플랫폼으로 환자의 근거리 요구도에 따라 개인별 맞춤화가 가능하다.이외에도 회절링을 10개 이상에서 8개로 줄여 빛번짐과 구면수차를 감소시켰고 오래전부터 인정받아온 호야의 비비넥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소수성 아크릴 소재로 제작돼 렌즈 내부에 미세 물방울이 생기는 "Glistening" 현상
신영인 가천대 길병원 안과 교수가 최근 코엑스에서 개최된 ‘대한안과학회 제132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 E포스터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이번에 수상한 연구는 ‘근적외선 자극에 반응해 항염증약물이 국소 제어 전달되는 녹내장 방수유출 임플란트 부속 장비의 개발’이라는 연구다. 이 연구는 동물 실험에서 근적외선 감응성 약물전달 녹내장 임플란트를 활용해 수술 부위 캡슐 두께 및 콜라겐 밀도 감소율을 확인, 녹내장 수술 후 염증 억제에 유효성을 갖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우수 E-포스터상은 대한안과학회의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우수한 연구에 수여하는 상으로, 지난 129회 학술대회에서는 구연발표 대신 모든 연제가 E-포스
김성재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은 안과 교수가 지난달 29일부터 3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4년 제132회 대한안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세광학술상 대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고 17일 밝혔다.이번 세광학술상 대상의 연구 주제는 ‘모든 인공수정체를 고정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낭(Omnipotent Artificial Bag)’이다.백내장은 전 세계 인구의 약 30%가 앓고 있는 주요 질환으로, 백내장 수술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만 60만 건 이상 시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초점인공수정체 기술이 발전하면서 40~50대 젊은 연령층의 백내장 수술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백내장 수술은 혼탁이 있는 수정체를 제거한 후 이를 대신할 인공수정체를 수
나이가 들며 시야가 침침해지는 증상을 단순 노안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는 노안뿐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안과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 특히 황반원공은 진행되면 시야 장애 등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황반원공은 눈의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 부위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이다. 황반은 초점이 맺히고 정밀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이곳에 구멍이 생기면 안경이나 돋보기로는 교정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진행되면 중심부 시야가 흐려지거나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등 시야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한정우 순천향대 부천
이종수 부산대병원 안과 교수가 지난달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32회 대한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의 총회에서 올해의 ‘학술선구자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대한안과학회가 제정한 학술선구자상은 대한민국 안과학 발전에 크게 공헌한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영예로, 이종수 교수는 평생에 걸친 연구 업적과 학문적 기여를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대한안과학회의 학술선구자상은 만 50세 이상의 정회원 중 안과 질환의 새로운 진단 체계나 방법, 혁신적인 치료법을 개발·발전시켜 학문적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수상자는 논문, 학회 발표, 특허, 기술이전 등 평생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외안부, 백내장,
김동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안과 교수가 지난달 29일부터 이번달 1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4년 대한안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국애브비 안과 의학자를 위한 학술연구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한국애브비 안과 의학자를 위한 학술연구상’은 한국애브비의 후원으로 대한안과학회에서 탁월한 연구로 학문의 발전에 기여한 논문을 심사해 수여되는 상이다.김동현 교수는 ‘온도와 습도가 건성안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Dry Eye Disease)’을 통해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김 교수는 연구를 통해 온도가 낮을수록 건성안의 증상과 징후가 심화되며,
최영아 이대서울병원 안과 교수가 지난달 29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아시아태평양성형안과학회(the Asia Pacific Society of Ophthalmic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APSOPRS) 학술대회에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최영아 교수는 '눈꺼풀 모르비한 질환 (Morbihan disease)의 임상 특성 및 치료 결과: 단일 센터 후향적 연구'를 발표했다. 최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눈꺼풀 모르비한 질환의 임상 특성 및 치료 결과에 대해 평가했으며, 특히 고용량의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가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최영아 교수는 "이 연구는 눈꺼풀 모르비한 질환 환자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