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주된 원인은 과격한 스포츠 활동 중 회전력에 의한 외상성 파열, 무릎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부하로 인한 퇴행성 파열이다.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급정지, 무릎 사용량이 많을 경우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면, 파열된 조각이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끼여 무릎이 걸리는 느낌, 혹은 잠금(locking)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관절 부종이 생기거나 통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점차 무릎 운동 범위가 감소해 계단 오르내리기 등의 일상생활에도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파열된 연골 조각이 대퇴골과 경골을 덮고 있는 관절 연골을 망가뜨려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파열의 모양과 크기, 위치를 고려하여 증상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이 경미하거나 무릎 안정성에 큰 문제가 없다면 약물이나 주사,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지속적인 치료에도 증상이 계속 지속되거나 파열의 크기가 크고 무릎이 불안정한 형태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주로 최소절개를 통한 관절 내시경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부위나 파열 모양에 따라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 혹은 봉합술을 시행한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치료는 파열의 위치, 크기, 모양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반월상 연골판의 외측 1/3 부위는 혈행 공급이 좋기 때문에 파열의 크기가 크지 않고 안정한 형태라면 보존적 치료 방법을 먼저 시도해볼 수 있다. 하지만 파열 범위가 넓고, 통증도 심하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권장된다.
반월상 연골판 수술 후에는 기본적으로 무릎 관절이 굳지 않기 위한 관절 가동 범위 재활 운동을 시행하는데, 재활 치료에 따라 수술의 결과 차이가 클 수 있다. 체계적인 재활 및 회복 과정이 있는, 수술 후 체계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갖춘 병원을 찾는다면 정상에 가까운 무릎 가동 범위 회복과 일상 복귀를 기대할 수 있다.
가자연세병원임경한원장(정형외과전문의)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