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수상은 김윤정 교수가 연구한 ‘파열된 발목 외측인대의 세포자가사멸을 포함한 분자학적 비교 연구 : 만성 외측 발목 인대 불안정성의 수술적 치료 적응증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 마련(Apoptosis occurs in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Add scientific evidence from bench to bed)’이 그 성과와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뤄지게 됐다.
김윤정 교수는 2019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만성 외측 발목인대 불안정성으로 인대 봉합술을 받는 환자와 급성 외복사 골절로 골절부 고정술을 받는 환자로부터 각각 전방거비인대 조직을 얻어 두 환자군의 조직 내 자가사멸세포 정도를 분석, 그 차이를 비교 연구했다.
그동안 급성 발목 염좌와 만성 인대 불안정성에 대한 보존 및 수술 치료 적용 범위 등에 대해 여러 연구와 논의가 있어 왔으나, 이는 설문평가, 신체검진, 스트레스 부하 영상 검사 등에 근거한 것이었다. 이에 김윤정 교수는 보다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발목 염좌가 발생했을 때 제일 먼저 파열되기 쉬운 발목 외측 인대 부위인 전방거비인대의 조직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만성 외측 발목 인대 불안정성 환자의 전방거비인대 조직 내에서 세포자가사멸이 발생되고, 급성 발목 염좌 환자의 전방거비인대 조직과 비교해서도 세포자가사멸이 더 많이 발생됨을 확인했다.
김윤정 교수는 “본 연구는 발목 전방거비인대 내 세포자가사멸 관련한 첫 연구로, 발목 외측 인대 손상 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결과를 보였다.”며 “추후 인대 내 세포자가사멸을 예방하거나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윤정 교수의 이번 연구는 2018년 한국연구재단 생애 첫 연구사업으로 선정돼 진행됐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