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선수촌병원김상범원장
잠실선수촌병원김상범원장
뉴스를 보면 운동선수들이 경기나 훈련 중에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부상을 당했다는 소식을 종종 들을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무릎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 역시 함께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물로 앞쪽의 전방십자인대와 뒤쪽의 후방십자인대로 나뉜다. 이들은 서로 교차하어 무릎관절을 탄탄하게 잡아주고 무릎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흔히 외부 충격을 받을 때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발생한다고 생각하지만, 전방십자인대는 다리가 크게 비틀려지는 동작만으로도 쉽게 파열될 수 있다. 비접촉성 외상은 점프 후의 불안정한 착지 및 급작스러운 방향 전환, 외반력, 과신전 등이 있으며, 비접촉성 외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전체 손상의 80% 이상을 차치하고 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에는 ‘투툭’하는 파열음이 들릴 수 있으며, 무릎에 통증 및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가라앉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단순 염좌로 오인할 수 있으니 무릎 부상을 당한 후에는 신경 써서 살펴보는 것이 좋다.

전방십자인대가 완전히 끊어졌거나 조직의 많은 부분이 파열됐다면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전방십자인대의 파열된 부분이 절반 이하이고, 무릎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없다면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통증 및 염증을 감소시키고 무릎 근력을 강화하여 무릎 안정성을 회복하는 물리치료 및 주사요법, 운동요법과 같은 방식을 적용한다. 그렇지만 파열된 부분이 절반 이하라고 해도 통증이 극심하거나 무릎 불안정성이 심한 편일 때도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수술 후에는 6개월 이상의 재활을 거쳐 무릎 관절의 기능을 회복해야 한다. 재활 부족 및 무릎 근력 감소, 무릎 관절 경직 등은 조직의 재파열로 이어질 수 있으니 회복 후에도 꾸준한 관리는 필수적이다.

(글 :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