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에 자리한 연골판 구조물로 안팎에 각각 1개씩 위치해 있다. 반월상연골판이란 명칭은 조직이 마치 초승달 모양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러한 반월상연골판은 관절 뼈와 뼈가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충격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강도 높은 활동을 장기간 지속할 경우,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경우라면 반월상연골판에 커다란 압박이 가해져 파열될 수 있다. 비만 환자라면 무거운 신체 하중으로 평소 반월상연골판이 겪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태가 장기화되면 관절뼈 사이에 연골판이 끼어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파열은 낙상 사고, 교통사고 등의 외부 충격보다 비접촉성 손상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즉, 비만에 의한 무거운 신체 하중 또는 격렬한 스포츠 활동에 의해 관절 운동량이 불어나 연골판이 파열될 수 있는 것이다.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면 극심한 무릎 통증을 느낀다. 나아가 관절 안에 마치 물이 차는 느낌, 무릎 안에서 무엇인가 걸리는 느낌,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운동 장애 등을 겪기도 한다.
만약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된 상태를 오래 방치한다면 외부 충격이 고스란히 관절뼈에 전달될 수밖에 없다. 나아가 관절 연골 조기 손상에 따른 퇴행성관절염으로 확대된다.
따라서 반월상연골판 파열을 조기에 발견해 즉각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무릎에 지속적인 통증이 느껴지거나 무릎이 쉽게 꺾이는 경우, 무릎 관절이 심하게 붓는 경우, 무릎 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뚝뚝 소리가 나는 경우 등이라면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방사선 촬영,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관절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연골판 손상 정도가 경미하다면 염증을 완화시키는 약물요법, 물리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개선한다. 경우에 따라 부목 등을 이용해 연골 상태가 회복될 때까지 기다리기도 한다. 만약 반월상연골판 손상 정도가 심해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봉합술,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다.
연골판 손상 정도가 너무 심한 상태인 경우, 절제술 시행 후 연골판이 얼마 남지 않아 합병증이 우려되는 경우라면 반월상연골판 이식술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식술은 공여자의 반월상연골판을 관절내시경으로 이식하는 방법이다. 문제는 연골 이식이 가능한 환자의 조건이 까다롭다는 것인데 관절염이 없는 경우, 정상 체중인 경우, 활동량이 많은 45세 미만의 젊은층인 경우, 정상적인 무릎 관절 정렬 상태를 보유한 경우 이식이 가능한 만큼 가급적 반월상연골판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다.
(글 : 서울바른세상병원 조일엽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