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말까지 304건 발생, 전년대비 약 185% 증가...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등 발생율 82%에 달해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의원(더불어민주당)이 식약처로부터 받은 최근 7년간(‘17 ~‘23.7) 연도별·월별 식중독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7월까지 식중독 발생 건수는 2017년 전체 336건 중 210건(65%), 2018년 363건중 188건(52%), 2019년 286건중 187건(65%), 2020년 164건 중102건(62%), 2021년 245건 중 135건(55%), 2022년 304건 중 164건(54%)이었던데 비해 2023년 304건으로 전년대비 약 185% 증가했다. [그래프1] 이는 코로나19 이전 시기인 2017년 대비 145%, 2018년 대비 162% , 2019년 대비 163% 증가한 숫자이며 코로나19로 인해 사회활동의 제약이 컸던 2020년과 2021년도에 비해서는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발생장소별 분류를 통해 확인해본 결과, 학교를 포함한 집단급식소에서 식중독 발생 비율은 전체 발생 건 중 2017년 15%(50건), 2018년 23%(82건), 2019년 19%(53건), 2020년 23%(38건), 2021년 31%(76건), 2022년 24%(74건), 2023년 7월말 현재 35%(107건)를 차지하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그래프2] 또한, 집단급식소 식중독발생 세부현황을 확인한 결과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등 3개 분류장소에서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2023년 7월말 현재 88건으로 전체 107건 중 82%에 달했다.[표1]
한편, 식중독 발생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장소로 음식점이 1순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었다. 다만, 2017년 전체 발생 건 중 66%를 차지하던 것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2023년 7월말 현재 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는 소량의 바이러스로도 쉽게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고 60도의 고온에서 30분 동안 가열해도 감염성이 유지될 만큼 저항성이 강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인재근 의원은“식중독 발생사례가 증가한 것에 대해 특별히 경각심을 갖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학교와 어린이집, 유치원 집단급식소의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고 아동과 어린이의 건강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 관계기관은 교육 및 관리 강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과 폭우 등 환경변화로 인한 식품섭취 유의 및 식중독 예방안 마련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