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의 증상과 원인
ADHD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집중하는 것을 힘들어 하는 증상이다. 이 때문에, 부주의한 실수를 반복적으로 저지러거나, 학업 등, 지속적인 정신적 노력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지속할 수 없으며, 성취도도 낮다. 나아가 여기에 과잉행동과 충동성의 양상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현재까지는 ADHD원인으로 ‘이것이 원인이다’라고 단정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지만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등과 같은 신경전달물질들의 기능저하와 두뇌기능상의 불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등 ADHD, 성인 ADHD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아동기나 청소년기, 성인기에 수행해야 하는 과제들이 다르다보니 발현되는 양상들에 있어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자극에 대해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점에서는 일맥상통한다. 아동ADHD는 수업시간중에 집중력이 떨어져 딴 짓을 하고, 어떤 일을 하다가도 다른 소리가 나면 그쪽으로 시선이 옮겨가는 등, 산만하고 통제에 따르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제대로 된 치료와 관리시기를 놓쳐, 청소년ADHD, 더 나아가 성인ADHD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20~30%정도에 이를 정도도 많은 편이다.
성인 ADHD에서는 충동성이 좀 더 많이 나타나는데, 한 직장에 오래 근무하지 못하거나, 동료나 상사와 잦은 마찰이 있거나, 충동적 행동으로 차사고를 내는 등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ADHD는 무조건 산만하고 충동적? 조용한 ADHD도 있어
흔히들 하는 오해중 하나이다. 조용한 ADHD의 경우,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것에는 장애를 겪는 것이 분명하지만, 과잉행동양상은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전체 ADHD환자 중 약20%정도로 추정되는데, 과잉행동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ADHD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단순히 소극적이고 싫증을 잘 낸다고 생각하기 쉽다. 산만해보이지는 않는데 과제에 대한 성취도가 많이 떨어진다거나, 물건을 자꾸 잃어버린다거나, 엉뚱한 반응을 보인다거나 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면 조용한 ADHD는 아닌지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ADHD, 조기 발견 및 빠른 검사와 치료가 중요
먼저 ADHD 테스트를 통해 자가진단을 해 본 다음, 증상이 의심된다면, 검사 후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 유아 ADHD의 경우에는 아이의 수면량이 아주 적거나 자주 깨지는 않는지, 떼를 많이 쓰고 투정을 부리는지, 손가락을 과도하게 빠는지 등을 통해서 점검해볼 수 있고, 초등 ADHD는 학습 태도와 생활에서 얼마나 집중력이 강한지, 얼마나 통제에 잘 따르는 모습을 보이는지, 감정적인 부분의 동요가 심하지 않은지 등으로 점검해볼 수 있지만, 자가진단만으로 단정짓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때문에 진단과 치료를 위해 병원을 선택할 때는 아이의 행동양태와 인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신호를 다각적인 검사를 통해 점검하고, 근본 원인에 따른 맞춤 처방, 치료가 이루어지는 곳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뇌기능검사, 인지기능검사, 종합주의력검사, 학습능력검사, 좌우뇌균형검사 등을 통해 ADHD원인과 양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극수용에 대한 민감도, 증상의 경중을 고려하여 다양한 ADHD 치료법을 선택하는데, 한약요법, 약침요법, 약침, 두개천골요법, 생기능자기조절훈련, 소뇌기저핵훈련, 감각통합훈련 등을 검사결과에 맞춰 선택적으로 시행한다.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집중력 높이는 법
집중력 높이는 그림, 삽화가 들어간 책을 읽게 하거나, 보드게임과 같은 집중력 게임을 함께 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집중력 높이는 색인 파란색으로 아이의 공부방을 꾸며 공부 집중력에 도움을 준다던지, 견과류나 블루베리와 같은 집중력 높이는 음식으로 아이의 집중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공진단, 총명탕 등의 집중력 높이는 약으로 학습에 보조적 도움을 주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ADHD 아동은 그 산만함과 충동성으로 평소에도 곱지 않은 시선을 받으며 말 안 듣는 문제아로 평가되곤 한다. 이 때문에 아이 스스로도 ‘난 나쁜 아이야’ ‘난 잘하는 게 없어’라고 생각하는 등 자존감이 많이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아이의 말에 공감해주고, 조그마한 일에도 칭찬하며, 격려하고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이 ADHD 치료 과정에서 중요하다.
하수지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