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DAC3 유전자 변이(de novo 변이) 최초 발견...신경발달장애 주요 원인으로 밝혀져
- HDAC3 변이, 히스톤 탈아세틸화 활성 저하·단백질 복합체 형성 저해·핵 내로의 이동 저하 초래

연구 결과 요약 (서울대병원 제공)
연구 결과 요약 (서울대병원 제공)
최근 국내 연구진이 희귀 유전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새롭게 발굴해 신경발달장애와 관련된 HDAC3 유전자의 변이를 규명했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와 강남세브란스병원 윤지훈 교수, 서울의대 약리학교실 이철환 교수와 임성균 연구원은 HDAC3의 변이와 신경발달장애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지난 10년간 서울대어린이병원 희귀질환센터를 방문한 2천5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장엑솜시퀀싱 데이터를 재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희귀질환은 개별적으로는 매우 드물지만 전체 인구의 약 5~6%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질환군이다. 지금까지 약 6천~7천개의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가 밝혀졌으나 여전히 많은 유전질환의 원인이 미확인 상태로 남아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시급하다. 특히 신경발달장애와 같은 복합 발달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발굴하는 것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환자와 부모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HDAC3 유전자에서 2명의 환자에게 신생 돌연변이(de novo 변이) 2가지를 발견했다. HDAC3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라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로 이번 연구를 통해 이 유전자의 변이가 신경발달장애와 관련 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국내 2명의 환자 외에도 영국과 미국의 협력 연구진과 함께 4명의 추가 환자를 찾아내 최종적으로 6명의 환자에서 HDAC3 유전자에 6가지 신생 돌연변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돌연변이들이 HDAC3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 내 실험, 세포 실험, 단백체 분석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이 돌연변이들이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의 활성 저하(66%), 단백질 복합체 형성 저해(100%), 그리고 핵 내로의 이동 저하(75%)를 초래해 신경발달장애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채종희 교수, 서울의대 이철환 교수, 임성균 연구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윤지훈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채종희 교수, 서울의대 이철환 교수, 임성균 연구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윤지훈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는 “어린이들의 심한 발달장애를 초래하는 희귀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밝혀내는 일은 환자와 부모의 진단 방랑을 줄이고 가족의 미래 자녀 계획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가 희귀 유전질환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윤지훈 교수는 “희귀 유전질환의 신규 원인 유전자를 규명하는 일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희귀한 사례들을 모아 유전체를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완성되는 어려운 작업”이라며 “이번 연구가 아직 질환의 정체를 규명하지 못한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진단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유전자 기반 맞춤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