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는 자연치아의 여러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이지만, 치료 과정에서 동반되는 통증, 출혈, 붓기, 감염 등의 염려가 있다. 또 시간적인 문제로 부담을 느끼는 이들도 적지 않고, 고혈압 당뇨 등과 같이 전신질환이 있다면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다행히 의료 기술이 발전하고 디지털 장비를 활용한 임플란트 방법들이 나오면서 이러한 부분을 해결해줄 수 있게 되었다. 고혈압을 앓고 있다면 혈압을 조절하고, 당뇨 환자라면 혈당수치 및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이 잘 이루어지면 맞춤형으로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하다.

기존 임플란트는 잇몸을 넓게 절개한 뒤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다시 봉합하는 방식이다. 그러다보니 출혈, 통증, 붓기 등을 피할 수 없고 회복 역시 오래 걸리며 감염 위험도가 높았다. 반면 디지털 과정은 수술 전, 3D CT 및 구강스캐너를 통해 환자의 구강정보를 얻은 뒤 컴퓨터 모의시술을 통해 진행 과정을 미리 살펴볼 수 있다.
컴퓨터 결과에 따라 정해진 위치, 각도, 깊이에 맞춰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어 기존 임플란트 대비 절개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진다. 정밀진단이 가능한 것이 디지털 임플란트 과정의 큰 강점이다. 개인별 골조직, 주별 치아와의 각도, 거리, 신경 위치 등 정보를 얻어 3D 프린터로 맞춤 가이드를 제작해 정확도 높은 식립이 가능하다.
기존 대비 회복이 빠르고 감염 위험이 적다. 시술 오차 가능성 역시 적어 신경 손상, 보철물 파손 등의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치료 기간이 단축된다. 디지털 임플란트는 체력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는 고령자, 고혈압 및 당뇨 등을 앓고 있는 전신질환자, 다수의 임플란트가 필요하거나 치과 공포증이 있는 경우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사전 진단부터 모든 수술 과정이 디지털 장비를 사용해 진행되는 만큼, 의료진이 장비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수술 경험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임플란트 고려 시 디지털 장비 여부와 관련 수술경험 및 노하우 여부도 확인하고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정확도가 높은 방식이라고 하더라도 감염 등 수술 후 관리소홀 등으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알고 스스로 지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수술 후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기적인 검진과 스케일링을 받도록 하고, 평소 올바른 양치질 방법을 숙지해 청결한 구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 :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최재용 대표원장)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