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층의 사회 참여도가 계속해서 높아짐에 따라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 이후 진행한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65~69세의 가장 큰 관심사는 건강(39.3%)이었다. 그러나 알콘의 조사에 의하면 다수의 시니어들이 눈에 불편함을 느끼면서도 정작 백내장 치료에 대한 정보는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알콘은 지난달 16일 어르신 일자리의 발전과 더 나은 미래 성장을 목표로 충북 청주시 청남대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노인 일자리 박람회'에서 시력 불편 증상과 노안, 백내장 차이점 등 눈 건강에 관한 스티커 설문을 실시하고, 스티커 설문 참여자에게 눈 건강 관련 교육 자료를 전달했다. 설문 내용은 나이가 들며 시력에서 어떤 불편함을 겪고 있는지, 노안과 백내장의 차이를 알고 있는지 등 시니어들의 눈 건강과 백내장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됐다.

설문 조사 결과 나이가 들면서 시력에서 느끼는 불편한 점은 ‘가까운 게 잘 보이지 않는다(25.3%)’, ‘사물이 겹쳐 보이거나 흐릿해 보인다(35.3%)’, ‘빛번짐이나 눈부심이 있다(28.6%)’에 그렇다고 응답해 시니어의 89.2%가 시력에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이 나타났다. 노안과 백내장의 차이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63.9%가 그렇다고 답했다. 노인 일자리 박람회에 참석한 시니어들은 취업과 일자리 유지를 위해 노력하기에 시력의 중요성을 잘 알고, 백내장에 대한 관심 또한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이번 설문에서 백내장과 노안의 차이를 잘 알고 있다고 답한 것과는 달리 백내장의 유일한 치료 방법인 수술 자체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한국인 575명을 포함한 전세계 10개국 73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알콘의 눈으로 본 백내장 서베이(Alcon Eye on Cataract Survey)'에 따르면 한국인 응답자는 10개국 평균보다 백내장 수술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준호 한국알콘 서지컬사업부 대표는 “이번 조사는 시니어들의 눈 건강 인식 실태를 알아보고, 눈 건강 인식 제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요즘 같은 100세 시대에 시니어들이 건강한 사회생활 지속을 위해서는 눈 건강 관리가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백내장의 경우 60대 이상이 전체 환자 수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기 때문에 시니어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한국알콘은 앞으로도 시니어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의 시력을 개선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종균 기자
press@healthinnews.co.kr